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경제/용어] 폰지게임(Ponzi Game)

by SB리치퍼슨 2010. 9. 12.
이미 매스컴에 떠들썩한 이야기의 투자에는 항상 유의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업초기의 부담을 뒤에 붙은 사람들이 다 떠안아야 하는 결과가 생긴다.
주식에서는 테마주가 그렇다. 세력이 치고 빠질 때 뒤늦게 따라 붙은 개인들이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앉게 되는 구조다.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찰스 폰지의 쿠폰 사업, 피라미드나 부동산 투기도 비슷한 사기극

▣ 정남구 한겨레 논설위원 jeje@hani.co.kr

  1919년 잡지 사업을 한번 해볼까 하고 스페인의 관련 회사에 편지를 보낸 찰스 폰지(Charles Ponzi·1882~1949)는 답장에 동봉된 국제우편회신 쿠폰을 바꾸러 우체국에 갔다가 눈이 번쩍 뜨였다. 스페인에서 미국 돈 1센트에 사보낸 쿠폰이 미국에서는 6센트나 했던 것이다. 이미 위조죄로 캐나다에서, 밀입국을 도와준 죄로 미국에서 한 번씩 옥살이를 한 그의 머리에 기발한 생각이 스쳤다. “값이 싼 나라에서 쿠폰을 대량으로 사다가, 값이 비싼 나라에서 현금으로 바꾸면 큰돈을 벌 수 있겠다!”

뒷사람의 돈을 앞사람에게 떼주다

폰지의 생각은 그럴듯했다. 국제우편회신 쿠폰은 1906년 미국을 비롯한 60여 개국이 맺은 협약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쿠폰을 보낸 사람이 회신우편 요금을 미리 대신 치르게 한 것이었다. 쿠폰을 받은 사람은 그것을 우체국에 가지고 가서, 회신에 필요한 우표로 바꿀 수 있었다. 협약 초기에는 어느 나라에서나 쿠폰값이 비슷했다. 그런데 1차 세계대전을 거친 뒤 각국 통화의 가치가 크게 변했음에도 쿠폰요금 체계는 바뀌지 않은 게 폰지의 눈에 띈 것이다.

“45일간 투자하면 50% 수익을 보장한다.” 폰지는 그해 12월 쿠폰사업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다며, 회사를 차리고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처음 그의 계획을 의심하던 사람들은 그가 실제로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주자 태도를 바꿔, 그의 사무실로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1920년 7월이 되자, 일주일 사이에 100만달러가 모일 정도였다. 나중에 집계한 것을 보면 그에게 투자한 사람은 1만여 명, 투자금은 980만달러나 됐다.

폰지는 사실 아무런 수익사업도 벌이지 않았다. 그저 나중에 투자한 사람의 돈에서 먼저 투자한 사람에게 수익을 떼주고, 나머지는 자신이 챙길 뿐이었다. 투자자들이 그에게 맡긴 돈으로 쿠폰 거래를 해 돈을 벌었다면, 쿠폰 1억 장 이상을 현금화해야 했으니 애초 불가능한 일이었다. 한동안은 모두가 행복했다. 그러나 그해 여름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폰지의 사업을 조사하면서 사람들은 그를 의심하기 시작했다. <보스턴포스트>가 그의 사업계획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를 1면에 싣자 불안해진 투자자들이 돈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폰지는 여러모로 투자자들을 안심시켜봤지만 조사가 계속되자 자금 이탈은 더욱 거세졌다. 폰지는 8월이 되자 결국 파산하고, 체포됐다.

폰지의 사기극은 주변의 여러 사람들에게 큰돈을 빌린 뒤 떼먹고 달아나는 사람들의 수법과 별 차이가 없다. 단지 그럴듯해 보이는 수익모델을 내세웠다는 게 다를 뿐이다. 사기극이 일찍 탄로남으로써 투자자들은 그나마 199만달러를 뺀, 782만달러는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폰지의 이름은 이때부터 ‘사기’의 동의어가 됐고, 오늘날 ‘폰지 게임’이란 경제용어로 남았다. 폰지 게임은 빚의 이자를 갚기 위해 점점 더 많은 빚을 얻어야 하는, 지속 불가능한 경제행위를 뜻한다.

폰지가 벌인 사기극은 오늘날에도 조금씩 변형된 형태로 쉼없이 출몰한다.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부터 세상을 들끓게 한 ‘피라미드 판매’는 그 대표적인 예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별도의 유통망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인 회원들이 판매를 책임진다. 유통 마진을 회원들의 수익원으로 삼은 것이다. 이런 유통 방식도 회원들에게 돌아가는 수당 총액이 유통 마진을 넘게 설계되면 언젠가 무너지는 폰지 게임이 된다. 특히 유통 조직을 여러 단계로 꾸려 하위 판매원이 올린 매출의 일부를 상위 판매원이 수당으로 받게 하는 구조인 경우, 하위 판매원이 계속 늘어나지 않으면 무너진다. 뒤늦게 뛰어든 사람은 물건만 비싸게 산 꼴이 된다.


바보를 더 모으지 못하는 순간 게임 끝

아예 상품 유통 단계를 생략한 경우도 있다. 외환위기 뒤 ‘○○파이낸스’란 이름으로 성행한 금융 피라미드 회사들은 고수익을 준다며 투자자들을 모았다. 물론 실제 투자는 거의 하지 않았으니 투자자들에게 줄 수익도 없었다. 계속해서 새 회원이 들어오지 않으면 파산하는 구조였다. 결국 나중에 돈을 맡긴 사람들은 돈을 떼였다. 회원들에게 돌아갈 몫이 오직 뒤에 들어온 ‘바보’들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까닭에, 바보를 더 모으지 못하는 순간 게임이 끝나는 것이다. 회원들이 금괴나 양복을 실제 가치보다 몇 배 비싸게 사게 하고 거기에 수당을 주는 경우도 별 차이가 없다.

주식 투기, 부동산 투기도 일종의 폰지 게임이다. 내재가치보다 몇 배 비싸게 값이 오르는 것은 뒤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앞서 투자하고 빠져나가는 사람들에 돈을 바치는, 그러나 언젠가 무너지고 말 폰지 게임이다. 선조들이 미리 많은 연금을 받게 설계한 연금제도도 인구 증가가 연금재정 확충을 뒷받침하지 못하면 폰지 게임과 마찬가지로 파산한다.

큰 사기꾼의 경우 사기가 탄로난 뒤에도 추종자가 따르는 건 예나 지금이나 다름없다. 뒷날 폰지가 옥살이를 하고 나와, 모국 이탈리아로 추방될 때도 그를 금융의 마법사로 추앙하는 팬들은 항구에 나와 전송했다고 한다. 한탕에 눈이 멀면 사람들의 판단력은 흐려진다. 자신보다는 더한 바보가 있어서 자기는 안전하게 돈을 챙기고 빠져나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 그런 이들이 있는 한, 폰지는 새 이름과 얼굴을 하고, 다른 미끼를 들고 세상에 다시 돌아온다.

 

자료 출전 : 한겨레21 2007년3월29일 653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