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투자 재테크

OECD,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2.5→2.3% 하향

SB리치퍼슨 2024. 12. 4. 23:23

OECD,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2.5→2.3% 하향

OECD는 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불확실성 시대의 회복력'이라는 부제의 경제전망을 발표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3%로 0.2%p 하향 조정했습니다. 내년 성장률 전망 역시 2.2%에서 2.1%로 낮췄습니다.

OECD는 이번 전망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2.3%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는 지난 9월 전망치인 2.5%보다 0.2%p 낮은 수치입니다. OECD는 올해만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번째 내렸습니다. 5월 전망에서는 2.6%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다만 OECD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2.2%)와 한국은행(2.2%), 정부(2.6%)보다 0.1~0.3%p 높은 수준입니다.

 

OECD는 "견조한 글로벌 수요가 수출을 지탱하고, 금리 하락과 실질임금 상승으로 금년 말부터 민간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며 "2025년에는 기준금리가 2.5%까지 낮아지고 물가상승률이 목표인 2%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물가상승률은 단기적으로 목표를 하회하는 가운데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며 여성·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가 고용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봤습니다.

이어 "연금개혁과 함께 재정 준칙이 고령화로 인한 지출부담 완충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노동시장 개혁이 일자리 매칭을 개선하고 자녀양육의 기회비용과 노인빈곤을 낮출 수 있다"고 권고했습니다.

 

세계 경제는 올해 3.2%, 내년과 내후년은 각각 3.3%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OECD는 "미국은 최근 이민자 유입 등에 힘입어 견조한 속도의 성장이 예상된다"며 "일본의 경우 실질임금 상승 등에 따른 민간소비 및 투자 증가로 내년 성장률이 반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 약세를 보였던 세계 무역은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계 경제의 하방 위험요인으로는 중동,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위험과 주요국 간 확대된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OECD는 한국 경제에 대하여 여러가지를 권고했습니다.

  • 고령화 대응 연금개혁
  •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재정준칙 도입
  • 노동시장 개혁으로 일자리 개선, 자녀양육 기회비용과 노인빈곤 완화

 

💁🏻‍♀️각 기관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기관(발표일) \ 연도 2024년 2025년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KDI(한국개발연구원, 11.11) 2.2%(2.5%)   2.0%(2.1%)  
IMF(국제통화기금, 11.20) 2.2%(2.5%) 3.2% (10/22) 2.0%(2.2%) 3.2% (10/22)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12.4) 2.3%(2.5%) 3.2%(3.1%) 2.1%(2.2%) 3.3%(3.2%)
ADB(아시아개발은행, 9.25) 2.5%(2.5%)   2.3%(2.3%)  
한국은행 (11.28) 2.2%(2.4%)   1.9%(2.1%)  
골드만삭스     1.8%(2.2%)  
모건스탠리     1.7%(2.0%)  
노무라     1.7%(1.9%)  
JP모건     1.7%(1.8%)  

 

1981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미만을 기록한 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0.7%)과 2023년(1.4%)로 네 번 뿐이었습니다.

한국 경제는 올해 1분기 이례적으로 높은 1.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2분기 -0.2%로 역성장했습니다. 3분기에도 0.1%에 그치며 성장 엔진이 식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상황입니다.


#한국경제성장률전망 #한국개발연구원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개발은행 #한국은행 #KDI #IMF #OECD #ADB #경제성장률전망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경제전망 #수출증가세둔화 #인구구조변화 #생산인구감소 #내수회복부진 #수출부진 #트럼프관세공약 #반도체 #자동차 #미국관세인상정책 #금리인하 #증세권고 #고령화위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