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투자 재테크
[주식투자] ROE, PER, EV/EVITDA, PBR, PSR
SB리치퍼슨
2022. 1. 12. 22:29
[주식투자] ROE, PER, EV/EVITDA, PBR, PSR
주린이가 반드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것
PER 낮을수록 좋음
ROE 높을수록 좋음
EV 낮을수록 좋음
PBR 낮을수록 좋음
PSR 낮을수록 좋음
주린이가 알고 있어야 할 주식용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을수록 좋은 회사
2.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 국제적으로 주가 수준을 가늠해 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 어떤 회사가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계속 돈을 벌 경우(1주당 벌어들이는 금액), 주가까지 벌려면 몇 년이 걸리느냐를 계산한 것
- 주가수익비율(PER) = 주가 / 1주당 예상순이익
* PER가 낮으면 주가가 저평가, PER가 높으면 고평가
*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을수록 더 좋은 회사
* 단순히 현재의 PER가 높다고 해서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반드시 미래의 예상 PER까지 함께 보아야 한다.
3. EV/EVITDA (이브이에비타)
- EV는 기업의 가치(Enterprise Value)
- EV/EVITDA는 기업의 가치라 할 수 있는 현금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시가총액에 비해서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즉, 어떤 기업이 지금과 같이 돈을 벌 경우 기업가치(EV)만큼 버는데 몇 년이 걸리는냐를 나타내는 것
* PER와 마찬가지로 기간이 짧을수록, 즉 숫자가 낮을수록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4.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어볼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
- 기업의 청산가치(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 보는 방법으로 쓰임.
- 주가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인데 비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재무체질 면에서주가를 판단하는 척도
- PBR이 높다는 것은 주가가 재무내용에 비해 높다는 것이고, PBR이 낮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
- 또한, PBR은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합쳐서 주가를 평가하는 척도
* PBR은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된 것.
5. PSR (Price Sales Ratio) - 주가매출액비율
- 현재 주가 수준으로 본 매출액 성장에 대한 기대치로 낮을수록 좋다.
- 주로 현재의 수익성보다는 미래가치가 중요시되는 벤처기업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 주가매출액비율(PSR) = 주가 / 1주당 매출액
6. 기타
- 그외에 매출액 절대규모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매출액 규모가 자본금 규모의 3배수가 안 된다면, 회사 설립연도가 짧거나 매출액 이익률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투자대상 종목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