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대역폭메모리4

삼성전자, HBM3E 8단 엔비디아 공급 승인 얻어 삼성전자, HBM3E 8단 엔비디아 공급 승인 얻어삼성전자 "HBM3E 개선 제품 1분기말 공급 예정…2분기 본격화" 삼성전자가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 HBM 제품을 엔비디아에 납품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현지시간 31일 보도했습니다.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HBM3E 8단 제품은 지난달 엔비디아의 품질검증을 통과했으며, 중국 시장에 특화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AI가속기 칩 생산을 위해 공급되고 있습니다.삼성전자와 엔비디아는 이와 관련한 논평에는 응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습니다.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HBM 5세대인 HBM3E 개선 제품을 올해 1분기 말부터 주요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6세대인 HBM4는 올해 하반기 양산이 목표입니다.HBM3E 개선 제품도.. 2025. 2. 1.
중 메모리 저가 러시...D램가격 최대폭 하락 중 메모리 저가 러시...D램가격 최대폭 하락세계 경기 침체로 정보기술(IT) 수요가 부진한 데다 중국 메모리 업체의 저가 공세까지 겹치면서 최근 넉 달 새 D램 반도체 가격이 36% 하락했습니다.8일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DR4 8Gb 범용 D램 평균 고정 가격은 지난 7월 2.1달러에서 11월 1.35달러로 4개월 만에 35.7% 떨어졌습니다. 지난달 가격은 전월 대비 20.59% 급락하며 올 들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반도체 시장의 불황으로 D램 가격은 2022년 2월부터 약 1년 반 동안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재고 감소 등의 영향으로 업황이 회복되면서 지난해 10월부터 잠시 상승세로 전환됐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PC 등 전방 IT 수요 부진이 해소되지 못하면서 지난 8월부.. 2024. 12. 10.
미, HBM 중국 수출 통제...한국산 HBM 포함 미, HBM 중국 수출 통제...한국산 HBM 포함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추가…중국, 즉각 반발미국 정부가 AI 개발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중국 수출 통제를 발표했습니다.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관보를 통해 밝혔습니다.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쌓아올린 고성능 메모리로, AI 개발의 핵심 재료입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미국 마이크론이 공급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은 현재 중국에 공급하지 않고 있습니다.BIS는 "이번 조치는 두 가지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전쟁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중국의 첨단 AI 개발을 늦추는 것, 미국과 동맹국의 국가 안보를 희생해 구축된 중국.. 2024. 12. 3.
HBM 선점 나선 엔비디아..SK하이닉스에 '선수금'까지 HBM 선점 나선 엔비디아..SK하이닉스에 '선수금'까지 오늘 오전에 반도체 관련 희소식이 있었습니다. 제경우 장기 보유로 가고 있는 SK하이닉스에 희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1위 기업인 미국 엔비디아가 SK하이닉스에 대규모 선수금을 지불하며 AI 반도체에 필수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선점에 나섰습니다. 17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SK하이닉스와 HBM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선수금을 대거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독점적으로 HBM3를 공급하고 있고 내년 공급되는 후속제품인 HBM3E까지 전담키로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대규모 선수금을 지급하는 형식의 계약은 이례적이라고들 합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기업이었던.. 2023.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