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사,성과,정책338

27일 중대본 "26명 숨지고 3만 7천여 명 대피…의성 진화율 54%" 산불 현황 27일 중대본 "26명 숨지고 3만 7천여 명 대피…의성 진화율 54%" 산불 현황역대 최악 3만6천헥타르 피해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7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이번 산불로 26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는 등 56명의 인명피해가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사망자는 경북 22명, 경남 4명 발생했습니다.중상자는 경북 3명, 경남 5명 등 모두 8명이고, 경상자는 경북 16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총 22명,사상자 56명 사망 26명, 중상 8명, 경상 22명, 대피 3만7천여명것으로 집계됐습니다.[속보] 영덕서 실종됐던 60대 산불감시원 숨진 채 발견2025. 3. 27. 12:25중대본에 따르면 대피상황은 의성·안동 주민 2만900여명을 포함해 3만7천여명이 화마에 대피했고 1만6천7백여명은 아직 .. 2025. 3. 27.
2025년 3월 26일 산불 현황...산불 진화・피해 현황 2025년 3월 26일 산불 현황...산불 진화・피해 현황한국도로공사는 오늘(26일) 오후 12시 현재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서산영덕고속도로는 동상주IC∼영덕TG 102km 양방향 105km 구간, 중앙고속도로는 의성IC∼예천IC 양방향 50km 구간이 전면 통제됐습니다.차단된 고속도로 인근 국도도 차량 운행이 통제되고 있습니다.경북 안동시 길안면 행정복지센터∼경북 청송면 현서면 덕계리 마사터널 인근 국도 35호선 21.2km 구간이 통제됐습니다.또 국도 5호선 경북 안동시 수상동 안동병원∼일직면 조탑리 남안동IC 12.8km 구간도 차량 운행이 차단됐습니다.어제 통제됐던 예천IC부터 풍기IC 구간과 부산울산고속도로 온양 나들목은 현재 통행이 가능합니다. .. 2025. 3. 26.
2025년 3월 25일 산불현황 - 산불 진화・피해현황 2025년 3월 25일 산불현황 - 산불 진화・피해현황21일부터 잇따라 발생한 전국의 대형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면서 산림피해가 급증했습니다.산불진화대원 등 4명이 숨지는 등 인명피해까지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불길을 잡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동시 산불로 장비와 인력이 분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25일 오전 9시 기준 산불피해 현황에 따르면 전국 5곳의 산불로 1만4694헥타르(㏊)의 산림이 불에 타거나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경상권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한 산불사고로 15명 사상자가 발생하고 약 3300명이 대피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해와 옥천 산불은 진화됐으나 가장 의성 산불은 진화율이 55%에 그치고 있다. 산청 .. 2025. 3. 25.
2025년 3월 23일 산불 현황 최대 42곳 2025년 3월 23일 산불 현황 최대 42곳21일부터 사흘 동안 경남 산청과 김해,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전국 42곳의 산불로 23일까지 총 4명이 숨지고 축구장 1만900개 크기의 산림이 불탔다. 정부는 22일 오후 6시를 기해 재난사태를 선포했습니다.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산청군 시천면에서 21일 오후 3시 26분경 산불이 발생해 산불 대응 최고단계인 3단계가 발령됐습니다. 산불은 건조한 날씨 속에 강풍을 타고 빠르게 번진 탓에 이틀이 지난 23일 오후 9시까지도 진화율은 71% 불과했습니다. 진화 작업 도중 고지대에서 산불 속에 고립된 경남 창녕군 소속 광역산불진화대원 3명과 인솔 공무원 1명 등 4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들과 함께 불을 끄던.. 2025. 3. 24.
"미국, NATO 최고사령관직 포기한다"… 가속화되는 '탈 유럽' 행보 "미국, NATO 최고사령관직 포기한다"… 가속화되는 '탈 유럽' 행보사실상 "유럽에서 손 뗀다" 선언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작전 지휘권을 포기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나토군의 작전을 이끄는 유럽연합군최고사령관(SACEUR) 직책은 그간 미군 장성이 맡아왔는데, 미 국방부가 이 직책을 유럽 국가들에 넘길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뤄진다면 가장 상징적인 미국의 '탈(脫)유럽' 행보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미국 NBC방송은 18일(현지시간) 미 국방부가 미군의 전투사령부 개편 과정에서 나토의 SACEUR 직책을 포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두 명의 국방부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SACEUR은 나토의 모든 연합 군사 작전을 총괄하는 자리로, 사실상 나.. 2025. 3. 19.
러시아, 미국, 영국이 체결한 우크라이나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 러시아, 미국, 영국이 체결한 우크라이나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당시 우크라이나 정부를 이끌던 지도자들은 핵무기 포기를 선택했다. 1994년 12월 핵확산금지조약(NPT) 회원국이 됐고, 이듬해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가입했다.그 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4회에 걸쳐 핵탄두를 모두 러시아로 이전했으며, 2002년 1월까지 자국 영토 내 모든 전략 폭격기들을 해체해 러시아로 이전하거나 비군사용으로 전환했다.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이런 조치에 반대하는 기류가 만만치 않았다. 특히 의회와 군부에서는 핵무기를 포기할 경우 러시아로부터 정치적 군사적인 압박을 받을 것을 걱정했다.그러나 정부를 이끌던 지도자들은 러시아라는 핵 강국을 이웃으로 두고 있는 우크라이나가 소규모 핵을 갖는 것은 오히려 안보에.. 2025.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