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469

[개발/delphi] 윈도우즈 언어 알아보기 [개발/delphi] 윈도우즈 언어 알아보기 시스템에 설치된 IME의 버전을 알아내는 루틴이다. setlength(s, Max_PAth); VerLanguageName(GetSystemDefaultLangID, PChar(S), max_path); SetLength (S, StrLen (PChar(S))); caption := s; 2011. 12. 20.
[개발/델파이] 네모나지 않은 폼 만들기 네모나지 않은 폼 만들기 아래의 소스는 폼을 타원형으로 만들어 준다. procedure TForm1.FormCreate(Sender: TObject); var R : HRgn; begin R := CreateEllipticRgn(-15,-15,Width+15,Height+15); SetWindowRgn(Handle,R,True); end; 2011. 12. 20.
[개발/Delphi] TWebbrowser 의 찾는 문자열에 형광팬 효과 주기 [Delphi] TWebbrowser 의 찾는 문자열에 형광팬 효과 주기 델파이 2009/11/04 17:40 http://blog.naver.com/yagyu82/92553070 uses 절에는 MsHTML 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var tr: IHTMLTxtRange; begin tr := ((WebBrowser.Document as IHTMLDocument2).body as IHTMLBodyElement).createTextRange; while tr.findText('찾는 문자열', 1, 0) do begin tr.pasteHTML('' + tr.htmlText + ''); tr.scrollIntoView(True); end; end; 즉 tr 에 TWebbrowser 내.. 2011. 12. 20.
[개발/MFC]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개발/MFC]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 int a; CString str = "100"; a = _tstoi(str); _tstoi() 함수는 String To Integer 즉,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꾸는 함수입니다. 숫자를 문자로 바꾸는 건 str.Format("%d", a); 이런식으로 하면 됩니다. 2011. 12. 16.
[개발/알고리즘] Base64 변환 알고리즘 (encode / decode base64) BASE가 64라는 것은 모든 정보를 64진수로 표시한다는 것인데,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므로 64진수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2^6 = 64 즉, 6 bit 2진수 열이 필요하다. 그런데 컴퓨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 단위는 8 bit로 구성된 Byte 단위이므로 6 bit와 8 bit가 각각 나누어 떨어질 수 있는 공배수의 최소값 (최소 공배수)를 구하면 24 bit가 된다. 24 bit는 8 bit 이고 Byte로 변환하면 3 Byte가 된다. 64진수로 표현하려면 6 bit 구성으로 4 단위가 된다. 따라서 Base64의 인코딩 원리는 3 Byte 단위마다 (즉, 24 bit 마다) 6 bit씩 나누어서 6 bit 문자 4개로 만드는 것이다. 이 때 6 bit씩 쪼개진 단위를 A-Z a-z 0-.. 2011. 12. 13.
[개발/delphi] 자기 자신을 지우는 프로그램 만들기(delphi) [개발/delphi] 자기 자신을 지우는 프로그램 만들기(delphi) from. 나이렉스 홈페이지 팁란( http://www.nilex.net/ ) 안치봉( ahn@nilex.co.kr ) 자기 자신을 지우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인스톨에 관계된것 중에서 Uninstall 프로그램 에 적용이 됩니다. 아래는 그 소스입니다.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원래 실행중인 프 로그램을 당장(?) 삭제하는것은 힘듭니다. 그래서 아래꽁수는 시스템에서 지원해주는 기능을 사용합니다. 자세한건 소스를 직접 분석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백문이 불여 일 행! ... ... procedure TForm1.RemoveFile(FileName: String); var ShortDest: array[0..400] of Char; WINIn.. 2011.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