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국수출통제3 미국, 대 중국 AI 반도체 수출통제...한국 등 18개국만 '무제한 수입 가능' 미국, 대 중국 AI 반도체 수출통제...한국 등 18개국만 '무제한 수입 가능'미국 정부는 13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첨단 반도체를 동맹국을 중심으로만 공급하겠다는 내용의 AI 반도체 수출통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AI와 관련된 국가 안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며, 통제가 혁신이나 미국의 기술적 우위를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라고 밝혔습니다.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이날 고급 컴퓨팅 칩과 특정 폐쇄형 AI모델에 대한 웨이트 규제와 검증 소비자(VEU) 승인에 관한 최신 규정을 내놨습니다. 새 규정은 전 세계 국가를 3개 등급으로 나눠 반도체 공급을 제한합니다.적대국은 미국산 반도체를 실질적으로 .. 2025. 1. 15. 미국, 삼성·SK 반도체 장비 중국 반입 별도 기준 검토 미국, 삼성·SK 반도체 장비 중국 반입 별도 기준 검토 1년 단위 유예 조치 대신 장기적인 시스템 운용 韓과 협의 기준 마련시 한국 기업의 中생산활동 불확실성 제거 기대 지난해 반도체 생산 첨단장비의 중국 반입을 사실상 금지한 미국 정부가 중국에 공장을 둔 한국 기업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비 반입기준 마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국에서 메모리 반도체를 대량 생산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 미국 안보를 위협하지 않는 기술 수준 내에서 현지 공장의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받게 될 전망입니다. 9일(현지시간)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 통제를 유지하면서도 한국과 대만 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공급망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협의를 .. 2023. 5. 10. 반도체 관련주, 미국 대중국 수출통제..호재 악재 변동폭 확대 반도체 관련주, 미국 대중국 수출통제..호재 악재 변동폭 확대 미국의 대중국 수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12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또 다른 악재를 전해 왔습니다. 반도체 업계의 악재 소식은 지난 7일 전해져왔습니다. 미국 주요 반도체 장비 제조 업체인 KLA는 중국에 기반을 둔 고객사를 대상으로 제품 및 서비스 판매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KLA 측은 18나노미터(1㎚=10억분의 1m) 이하 D램과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기술, 고급 로직칩 등을 판매 및 서비스 제공하지 않겠다고 일부 고객사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지난 7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대중국 수출 통제 조치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미 상무부는 18㎚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 2022. 10.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