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공투자236

[경제/주식] MACD w-SAR MACD w-SAR MACD와 파라볼릭 SAR가 결합한 일종의 binary wave지표이다. - MACD 와 MACD 시그널과의 관계와, 파라볼릭과 종가와의 관계를 통해 매수와 매도 신호를 각각 +1,-1로 나타낸다. - 두 지표 중 하나만 매수 신호를 나타낼 때는 1 또는 -1, 모두 매도 신호일 때는 -2를 표시, 모두 매수 신호일 때는 2로 표시한다 2012. 7. 19.
[성공투자] "두 달 뒤 코스피 600p 급락" CLSA '셀 코리아' 왜? [성공투자] "두 달 뒤 코스피 600p 급락" CLSA '셀 코리아' 왜? 출처: 머니투데이, 2012년2월9일7시54분 [6개월만의 2000 회복에도 부정 전망 고수] '두 달 안에 코스피 지수가 600포인트 급락할 수 있다'. 외국계 증권사인 크레디리요네(CLSA)가 제시한 국내 증시 전망치가 현실화하면 그렇다. CLSA는 올 들어 국내 증시가 상반기 약세를 보이며 2분기에는 1400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이를 아직 고수하고 있다. 8일 코스피지수가 6개월 만에 2000을 회복한 데서 보면 두 달여 뒤엔 코스피지수가 600포인트 넘게 폭락한다는 얘기다. CLSA는 한 달 나아가 최근 LG전자, S-oil, 한국타이어, 만도, 현대중공업 등 국내 블루칩을 매도하라는 의견을 줄줄이 내놨다. 올.. 2012. 2. 9.
[성공투자] 쌍용차 소식 [성공투자] 쌍용차 소식 출처: 인포스탁 - 거래소 정보 기업개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비중이 높은 자동차 제조 및 판매업체. CKD(반제품 상태 수출) 부품 등도 생산, 판매하고 있음. 10년11월우선협상대상자인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M&M)그룹과 인수합병(M&A)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 M&M에 따르면 동사는 인수 뒤에도 한국인 최고경영자를 두고 별도 사업부문 형태로 유지될 것으로 알려짐. 최대주주는 Mahindra & Mahindra Limited 외(70.04%) Update: 2011.06.20 Spot Data & Issue - Spot Data ☞ 2012-01-11 상한가-최대주주 지원 소식 및 인도시장 진출 호재-4일 연속 ☞ 2012-01-10 상한가-최대주주 지원 소식 및 인도.. 2012. 1. 20.
[성공투자] 교육株, 급등..애플 효과로 콘텐츠 수요 증가 기대 [성공투자] 교육株, 급등..애플 효과로 콘텐츠 수요 증가 기대 출처: 이데일리 2011.01.19 - 애플, 아이패드에 최적화된 교과서 공개 예정 - 교육 관련주, 이틀째 급등..비상교육 이틀 연속 `上` [이데일리 박형수 기자] 교육 관련주가 이틀 연속 상승 마감하며 애플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애플이 교육산업에 진출한다는 소식이 교육 관련 업체가 주목받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비상교육(100220)은 전날보다 14.75% 오른 1만24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상한가로 마감했다. 에듀박스(035290)도 이틀 연속 가격 제한폭까지 치솟았고 청담러닝(096240)은 이틀 동안 15.8% 급등했다. 이 밖에도 에듀언스(009010) 예림당(036000) 삼.. 2012. 1. 20.
[성공투자] CB(사모전환사채)와 BW(신주인수권부사채) 주식과 채권의 두 얼굴을 가진 CB(사모전환사채)와 BW(신주인수권부사채)는 원래 기업의 자금조달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그러다가 최근 들어서는 적대적 기업인수·합병(M&A)의 표적이 되고 있는 기업들 사이에 경영권 방어용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전환사채는 Convertible Bond라고도 하는데 줄여서 흔히 CB라고 부른다. 이것은 말 그대로 일단 채권은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될 수도 있는 채권이다. 전환권 행사 이전에는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사채로서 존재하고, 전환권 행사시에는 사채가 소멸되고 발행회사의 영업실적에 따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식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환사채는 법적으로는 사채이나, 경제적 의미로는 잠재적 주식의 성격.. 2012. 1. 16.
[성공투자] 주식과 채권의 차이 채권은 주식과 함께 기업에서 필요한 돈을 조달할 때에 주로 사용되는 증권이다. 이렇게 기업이 채권이나 주식을 통해 돈을 조달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 둘 다 자본이 되는데 주식 발행과 채권 발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식 소유자는 기업의 소유자로서 주주총회를 통해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 소유자는 경영에 대한 참여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채권 소유자는 채권을 아무리 많이 가지고 있어도 발행기업이 이자만 제대로 지급한다면 기업의 경영에 간섭할 수 없다. 또한, 돈을 빌려 준 사람의 입장에서 채권은 주식과는 달리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해준다. 주식은 가격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과 기업의 경영 성과에 따라 배당을 받지만, 채권은 기업의 실적에 관계없이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기 .. 2012.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