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투자20 제약・바이오 섹터 수익 현황 제약・바이오 섹터 수익 현황항상 주식하기가 어렵다고 말하지만 요즘은 또 반도체 전기차 전력설비 섹터가 오르락 내리락 변동이 심합니다.방산주 섹터는 잘나가는 편인데요.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K방산에 기대감이 더해진 상황입니다.오늘은 체코 원전 사업에 우선협상자로 한국이 선정되어 원전 관련주가 좋습니다.반도체 섹터에서 SK하이닉스는 장기 투자 중이었는데 20만원 넘어가기전에 매도했었습니다.반도체 섹터는 좀 쉬어가자는 것이었습니다.K방산과 전력설비 섹터 투자에 집중 못해서 아쉽지만 지금은 제약・바이오 섹터에 다른 섹터보다 좀 더 신경쓰고 있습니다. 투자 종목 중 수익률이 좋은 종목을 소개해 봅니다. 이들 종목도 장기 보유 중입니다. 너무 올라서 더 들어가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방사선치료제 퓨.. 2024. 7. 18. "받고 싶다 중간배당" 6월 배당 종목 찾기 "받고 싶다 중간배당" 6월 배당 종목 찾기 투자자들에게 ‘여름 보너스’로 불리는 중간 배당을 앞두고 주식시장에서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중간 배당을 실시하지 않은 기업들이 배당에 가세하면서 6월 중간 배당 규모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코스피지수가 반대매매가 나오는데도 계속된 하락세 상황에서 경기 방어주와 반등시 치고 올라올 수 있는 배당주를 잘만 고르면 주가상승과 여름보너스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까지 중간배당을 결정한 상장사는 76곳인데요. 코스피 53개사, 코스닥 23개사로 아직 공시하지 않은 기업을 포함하면 중간 배당 종목은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중간배당 주요 기업 (푸른색은 신규 중간배당 기업.. 2022. 6. 24. [주식투자] ROE, PER, EV/EVITDA, PBR, PSR [주식투자] ROE, PER, EV/EVITDA, PBR, PSR 주린이가 반드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것 PER 낮을수록 좋음 ROE 높을수록 좋음 EV 낮을수록 좋음 PBR 낮을수록 좋음 PSR 낮을수록 좋음 주린이가 알고 있어야 할 주식용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을수록 좋은 회사 2.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국제적으로 주가 수준을 가늠해 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어떤 회사가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계속 돈을 벌 경우(1주당 벌어.. 2022. 1. 12. 도서2019 - 존 템플턴의 가치투자 전략 존 템플턴의 가치투자 전략 세기 최고의 바겐 헌터가 전하는 불패의 역발상 투자 법칙 혼란과 공포로 얼룩진 주식 시장에서 최고의 기회를 노려라! 20세기 최고의 주식 투자자 존 템플턴의 성공 투자 비법이 담긴 주식 투자 교과서 존 템플턴이야말로 이 시대 최고의 주식 투자 전문가다! 2019. 4. 30. [성공투자/주식]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포트폴리오는 위험부담이 큰 몰빵이라든가 시장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수익성이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성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장세에 따라 다소 차이를 두고 자신의 성격에 따라 그 비율을 설정한다. 성격에 따라 장기투자나 단기투자 비율을 달리 할수도 있다. Financial District by dkshots 주식투자는 투기나 도박이 아닌 투자인 이상 절대적으로 리스크 관리 및 안정적 수익추구로 해야한다. 먼저 기본적인 총자산의 비율을 알아보자 현금은 40% 단기 종목은 30% 장기 종목은 30% 이 중에서 장기종목도 3종목 이상이 되어야 하며 단기종목도 3종목 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즉 100,000,000 원이라는 현금이 있다면 이 것을 평균 포트 폴리오를 배분해 보면.. 2014. 2. 4. [성공투자] 불마켓, 랠리 불마켓 [bull market] 강세시장[bull market, 强勢市場] 장기간에 걸친 주가상승이나 대세상승장을 말하며, 이는 마치 황소(bull)가 뿔로 주가를 들어 올리는 것과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 강세장은 불(Bull, 황소)마켓으로 부른다. 장세를 동물에 비유한 데는 여러 설이 있는데, 싸울 때 황소는 뿔을 위로 치받는다고 해서 `상승장'이라 한다. 다른 해석으로는 `황소'의 이미지는 적극적이어서 주식을 매입하며 저돌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나타난다. 여기서는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를 가리킨다. 이 투자자들은 가격상승을 기대하기 때문에, 나중에 다시 팔아 이윤을 남길 목적으로 증권이나 상품을 사들인다. `황소'는 주식을 나중에 높은 가격에 팔 생각으로 지금 매입하는 사람이다... 2011. 12.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