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칼로리5

라면, 우동면, 국수면, 생면, 순탄라면, 곤약...각종 면사리 칼로리 비교 라면, 우동면, 국수면, 생면, 순탄라면, 곤약...각종 면사리 칼로리 비교  라면을 가장 많이 즐기는 나라는 중국이지만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 세계 1위는 대한민국입니다.예전부터 라면을 자주 먹으면 영양불균형이 와서 영양실조나 빈혈도 있을 수 있다고 정부에서 많이 이야기 해왔다.뭐, 지금은 라면을 수출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 상태이니 이런 공익홍보는 못 할 듯 하다.일반적으로 밥 한 공기는 300kcal의 열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반 1인분이면 열량이 600kcal를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한 끼 권고 열량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습니다. 라면의 경우는 어떨까요? 라면 한 봉지의 경우 대략 600kcal 열량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라면에 따라 다르니 참고해 주세요.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라면의 포화지.. 2024. 12. 17.
[음식/요리] 라면 먹을땐 채소, 계란 꼭 곁들이세요 라면은 중량에 비해 칼로리가 높은 편이나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이 다른 식품에 비해 부족하다. 따라서 라면만 먹고 모든 영양소를 섭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면의 주성분인 밀가루는 우유, 쇠고기, 쌀에 비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품이 아니다. 단백가가 낮아 인체의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고르게 들어 있지 않다. 밀에 들어 있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은 소장 점막을 손상시켜 소화장애와 흡수장애를 일으킬수 있다. 주위에서 밀가루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은 소맥분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결여돼 있는데다가 글루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또 라면에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지만 수입한 밀가루 자체에 방부제가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도 한 원인이다. 라면.. 2019. 12. 15.
[의학/과학] 칼로리에대해서(모두주목!!) 칼로리에대해서(모두주목!!) 먼저 kcal의 정의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1kcal는 기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순수한 물 1kg을 1기압하에서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에너지입니다. 물 1g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gcal(그램칼로리) 혹은 cal라고 합니다. 그런데 cal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서는 물 1g을 몇 ℃에서부터 가열했는지, 즉 가열이 시작될 때의 온도 영역을 반드시 언급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가열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영역에 따라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화학이나 물리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cal(15。C)는 가열하고 있는 1g의 순수한 물을 1기압하에서 14.5。C에서 15.5。C로 1。C 올릴 때 측정된 열량입니다. 이것을 1.. 2019. 6. 16.
[다이어트/비만] 테이크아웃 커피의 칼로리 비교 [다이어트/비만] 테이크아웃 커피의 칼로리 비교. http://www.joins.com/today/200403/03/2004030314224480019j000j500j501.htmlTAKE-OUT coffee의 칼로리를 비교해놓은 것.(중앙일보) 2016. 5. 12.
[건강/음식] 콜레스테롤 수치 3가지 편견(고기,과일,채식) [건강/음식] 콜레스테롤 수치 3가지 편견(고기,과일,채식) (앵커) 흔히 '혈관의 찌꺼기'로 불리는 콜레스테롤에 대해 오해가 많습니다. 건강식이라며 먹는 식습관이 도움보다는 오히려 해가 될 때도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첫 번째 편견은 붉은색 고기를 먹으면 무조건 수치가 높아진다는 생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육식은 몸에 해롭다고 믿고 있지만 적당히 먹으면 약이 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는 것은 고기를 먹어서가 아니라 굶거나 식사량(칼로리)이 일정치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의는 육류를 전혀 먹지 않으면 몸에 꼭 필요한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합성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 오히려 콜레스테롤 수치가 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뷰) XXX 교수 (서울XX병원 가정의학과) "고.. 2014.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