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데이터센터 유치 명과 암, 정말로 일자리 창출, 지역성장에 도움이 될까?

by SB리치퍼슨 2024. 9. 12.

데이터센터 유치 명과 암, 정말로 일자리 창출, 지역성장에 도움이 될까?

지자체들, '데이터센터' 유치전 뛰어든 이유는 '일자리' '세수확보'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거나 계획 중인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 수가 28개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7월 4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강원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부산광역시 등 주요 지자체가 현재 추진하는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은 총 28개 입니다. 이 가운데 강원특별자치도가 3분의 1에 달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들은 데이터센터 유치·건립을 통해 세수 확보와 함께 지역 산업 발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 제조 등 타 산업과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2개 민간 데이터센터 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데이터센터 지방입지 고려시 부정적 요인(복수응답)으로 '고객 유치의 어려움(79.1%)', '인력 수급에 대한 어려움(74.4%)'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통 등 기본 인프라 부족 문제(34.9%)도 제기됐습니다.

전국 데이터센터 현황

 


🔸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 일본에 투자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인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일본에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약 20조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뒤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가 4조 원을, 오라클은 11조 원을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일본에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발표된 세 회사의 투자 금액을 다 더하면 35조 원이 넘습니다. 모두 올해 발표된 내용입니다.

미 텍사스 오스틴 오라클 본사

AWS는 지난해 한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에 8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는데, 이번 인터뷰에서는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허가를 받는 것도 어렵고, 발전소가 완공된 뒤에는 전력망에 연결하는 것도 어렵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다른 나라로 투자 순위가 바뀔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한국에 데이터센터 투자가 꺼려지는 건 재생에너지 부족이 핵심 문제라는 겁니다.

한국에 투자 유치가 어려운 이유는 원전 문제도 아니고 전 정부나 현 정부의 정치적 문제도 아닙니다. 
인터뷰에서 말한 바에는 RE100 발전 건설 허가와 송전시설 관련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 미국, 일자리 창출효과 언론 보도와 달라

과거 미국 지역사회와 정계의 유치 1순위 시설이었던 데이터센터가 순식간에 '애물단지' 처지가 됐습니다. 고용 창출 효과는 적은 반면 전력은 많이 소모해 '돈 먹는 하마'가 됐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조지아·버지니아 등 미국 일부 주에서는 데이터센터 세금 감면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도(州都) 애틀랜타가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고 있는 조지아에서는 지난 3월 데이터센터 세금 감면을 2년 간 중단하는 법안이 주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브라이언 캠프 주지사는 오는 7월부터 세금 감면이 중단될 경우 투자 계획에 차질이 빚을 것이라며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캠프 주지사는 의회가 보조금 연장을 의결한 게 불과 2년 전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버지니아주 AWS 데이터센터

미국 내 최대 데이터센터 허브인 버지니아주에서도 민주당을 중심으로 규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버지니아주는 2010년부터 데이터센터에 세액감면 혜택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버지니아주 감사관은 2023회계연도에 데이터센터 인센티브로 주가 제공한 세금 감면 혜택이 7억5000만달러에 달한다고 추정했습니다.

조지아주 데이터센터 세액감면 중단 법안을 발의한 척 후프스테틀러 주의회 상원의원(공화당)은 "로비스트들은 종종 세금 공제가 훌륭하고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말하지만 실제 데이터센터가 만드는 일자리는 거의 없다"라며 "돈만 잃는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로 인해 생기는 일자리가 같은 규모 제조공장의 1~10%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제조 공장을 돌리기 위해서는 생산 라인에 근무하는 직원이 상당수 필요한 반면 데이터센터는 일부 기술자, 보안요원, 건물 제어 전문가 등 최소 인력만 있어도 운영이 가능합니다.

2021년 기준 버지니아 주 데이터센터가 소비하는 전력은 1688㎿(메가와트)로 주 전체 전력 공급량의 12%, 16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이 외에도 데이터센터 건설로 인한 환경오염, 거대한 팬을 작동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 공업 용수 소비로 인한 물 부족 등도 주민들이 데이터센터를 반기지 않는 이유로 꼽히고 있습니다.

버지니아주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세금 감면은 일자리 확충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지만 지역의 성장 촉진에는 실패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투자유치에 앞선 싱가포르의 사례

싱가포르에는 세계적인 빅테크 기업인 구글, AWS,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운영하는 70개 넘는 데이터센터가 있습니다. 올해만 해도 구글이 50억 달러를 투자한 데이터센터가 완공되었고, AWS는 새롭게 88억 달러를 투자해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싱가포르 메타(페이스북) 데이터센터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지진, 태풍, 화산 폭발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기에 데이터센터를 지으려는 기업들이 밀려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싱가포르는 이런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에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가 전기와 물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반면 고용이나 경기 활성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해리슨 앤 헌터 에이전시 파트너스가 발표한 '데이터센터 소비전력량' 세계 순위에서 싱가포르는 4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전기를 데이터센터 운영에 쓰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전체 전력 소비량의 7%를 데이터센터가 쓰고 있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데이터센터를 위해 필요한 건 전기만이 아닙니다.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물을 이용하는데, 대규모 서버의 경우 연간 물 사용량이 2억 갤런(약 75만 톤)에 이를 정도로 많은 물을 사용합니다. 이 같은 물을 구하기 힘든 곳이 많아 북극과 가까운 곳에 데이터센터를 짓기도 하고, 아예 바닷속에 서버를 만들기도 합니다.

빅테크 기업의 사업을 위해 땅을 내주고, 전기와 물을 공급해 주지만 투자한 만큼의 고용효과가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기 시작했습니다.


🔸 유럽, 아일랜드의 사례

아일랜드 메타(페이스북) 데이터센터

유럽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가 있는 아일랜드는 2028년까지 더블린 지역의 신규 데이터센터 건립을 불허하기로 했습니다. 법인세가 낮아 빅테크 기업들이 수많은 데이터센터를 지었고, 그 결과 국가 전체 전력의 28%를 데이터센터가 쓰는 상황에 이르자 제동을 건 것입니다.

유럽연합은 오는 9월부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를 줄이기 위해 취하고 있는 조치를 보고서로 제출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했습니다.


🔸 국내 데이터센터는 70% 가량이 수도권에 집중

실제 데이터센터 수요 기업들은 고객사들의 수요와 긴급 상황 시 대응 등 비용과 시간 절감을 이유로 수도권 데이터센터 설립을 여전히 선호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실제로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개발 이익이 있기 때문이다.

2022년 9월 기준 국내에 운영 중인 147개 데이터센터 입지의 60%, 전 력 수요의 7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 으며 이 비율은 2029년에 각각 80%대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업계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하 분산에너지법)’ 시행으로 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런데 데이터센터 구축 인허가를 결정하는 관련기관이 한국전력입니다. 좀 의아하긴 합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내놓은 ‘2023년 하반기 데이터센터 시장 보고서’를 보면 2023년 하반기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수도권 시장의 점유율은 77%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데이터센터를 전국으로 분산하기 위해 부담금 할인 등 각종 혜택을 제시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경기도‧인천 등 수도권 이외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신설하면 전기 시설부담금 50%를 할인하기로 한국전력 기본공급약관 시행세칙을 개정했습니다. 

산업부에 따르면 2029년까지 설립 의사를 밝힌 신규 데이터센터는 732개이고, 이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601개(82%)를 차지했습니다. 산업부는 601곳 중 40곳(6.7%)만 전력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0년 내에 전력수요는 40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데이터센터 구축 실패의 사례로는 안양시에서 효성그룹의 유치가 주민반대로 철회가 있으며 김포시에서 미국계 디지털리얼티(DLR) 반대 시위가 있었습니다. 또, 용인시에서는 네이버 건립이 철회되어 세종으로 옮겨간바 있습니다.

 

세종 네이버 데이터센터

데이터센터 해외 돌파구

한화에너지는 미국 텍사스주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신사업을 추진 중이며 SK텔레콤 은 미국의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전문 기업인 SGH에 28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RE100 인프라 구축과 전련망과 기본 인프라 구축에 대한 로드맵이 부족하기 때문에 해외 빅테크 기업의 투자 유치 실패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내 기업조차 해외로 진출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원전이 아닌 RE100에 대한 투자 집중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29년 정도면 대한민국은 전력과 물 부족 국가가 되어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데이터센터의 장점과 환경문제와 같은 단점을 적절히 조율할 수 있는 정책이 나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포스팅이 데이터센터 유치의 장단점 이해에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로 응원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데이터센터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강원특별자치도 #일자리창출 #지역경제활성 # #데이터센터유치 #고객유치 #인력수급 #인프라부족 #RE100 #신재생에너지 #신재생발전소 #전력인프라 #송전망시설 #전력설비 #클라우드서비스인프라구축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아일랜드 #미국 #조지아주 #버지니아주 #싱가포르 #일본 #수도권집중 #SK텔레콤 #한화에너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