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삼성전자 최고”...HBM 제품 아닌 GDDR7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2025’ 행사장에서 삼성전자의 7세대 그래픽 D램(GDDR7) 제품에 친필 사인을 남겼습니다.
“삼성전자 GDDR7은 최고(Rocks)!”
이날 황 CEO는 GTX 2025 전시 부스 투어 중 삼성전자가 마련한 전시장에 들렀습니다. 이후 삼성전자의 GDDR7이 탑재된 엔비디아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RTX5090에 서명하고, GDDR7 메모리 제품에 “RTX에 탑재, 삼성 GDDR7 최고!”라고 적었습니다.
삼성전자 GDDR7 공식 납품
현재 삼성전자는 1년 넘게 엔비디아의 품질(퀄)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해 HBM3E 8단과 12단 제품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전자의 HBM3E 공급 시기를 묻는 질문에 "삼성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젠슨 황 CEO는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삼성전자의 HBM(고대역폭메모리)를 둘러보진 않았습니다. 이동 동선과 맞지 않았던 것이 이유로 알려졌지만, 아직 삼성전자의 5세대 'HBM3E' 제품이 엔비디아 퀄테스트(품질검증)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감안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전 부회장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HBM3E 12단 제품을 올해 하반기까지 차질없이 개발해 양산할 계획입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지난해 4분기부터 HBM3E 12단 제품을 엔비디아에 공급한데 이어 신제품인 6세대 HBM4 12단 샘플을 세계 최초로 엔비디아에 공급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오른 이유는
부진했던 반도체 업황이 회복되리라는 기대감
모건스탠리가 지난 18일(현지시간) 단기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삼성전자 목표 주가를 기존 6만5000원에서 7만원으로 상향 조정한 영향이 컸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낸드(NAND) 플래시 가격이 감산 효과로 반등하고, D램 현물 가격이 중국의 AI(인공지능) 설비 투자와 관세 전 구매 수요 등으로 상승하는 점을 긍정적 요인으로 봤습니다.
국내 이슈와 미국 관세 이슈 이외에 삼성전자 자체 이슈로 주가가 더 나빠질 이유가 있을까요?
#삼성전자 #엔비디아 #삼성전자엔비디아납품 #삼성전자엔비디아납품실패 #삼성전자GDDR7 #삼성전자HBM3E퀄테스트실패 #삼성전자HBM3E12단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HBM412단엔비디아납품 #삼성전자주가상승이유 #반도체업황회복 #메모리반도체가격상승 #모건스탠리
'성공투자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자동차 관세’ 승자되나? 패자되나? (0) | 2025.03.28 |
---|---|
트럼프 '관세 발언'...한국 증시, 유럽 자동차 주식 급락 (1) | 2025.03.28 |
미국 '핵 협상' 거부한 이란 제재..국내 정유 기업 반사이익 (0) | 2025.03.21 |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美 FDA 승인 실패…보완요청서 수령 (0) | 2025.03.21 |
테슬라 주가 폭락 4가지 이유와 전망 (0)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