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여행 맛집 요리 헬스

[의학/시사] 기적의 당뇨병 약 - 인슐린

by SB리치퍼슨 2019. 5. 20.

기적의 당뇨병 약 - 인슐린 

 

 

우리는 정말 많은 빚을 지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의심 없이 사용하고 있는 많은 것들은 대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좀더 깊이 생각해 보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많은 것들이 실은 많은 이들의 노력의 대가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어쩌면 우리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에도 그들의 힘을 빌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의 노력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우리 후대를 위한 또 다른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인슐린을 발견, 많은 당뇨병 환자를 고통의 구렁에서 건져낸 과학자 프레드릭 밴팅도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남기고 간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당뇨는 정말 여러 가지로 고통스러운 병이다. 제대로 먹을 수가 없으며 날이 갈수록 비쩍비쩍 말라만 간다. 그뿐만이 아니다. 끊임없는 두통에 시달리기도 하고 호흡곤란 등 힘겨운 증상에 시달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 다른 치료방법이 없다. 그저 증상을 완화하는 차선책이 있을 뿐. 그 차선책이 바로 프레드릭의 '인슐린'이다. 당뇨병 환자 사이에서 '기적의 약'이라고 불리는 바로 그 인슐린이 처음 세상에 선보인 때는 1921년, 캐나다의 과학자 프레드릭 밴팅에 의해서이다.



작은 의문을 시작으로



프레드릭 밴팅은 처음에는 평범한 외과의사에 불과했다. 큰 도시에서 병원을 개업하고 뛰어난 의사라는 명성을 얻는 것이 그의 최대 목표. 그런 그가 새로운 인생을 접하게 된 것은 아주 작은 의문 때문이었다. 작은 계기가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은 셈이다.

   "건강한 사람의 이자에 있는 점들은 대체 어떤 기능을 하는 걸까?"

외과수술지에 실린 당뇨병에 대한 기사는 그를 흥분시켰다. 어쩌면 그 의문의 점들이 당뇨의 해결책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었다. 그때 그의 머리 속에는 아주 색다른 생각이 떠올랐다.

   "이 점들이 소각로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닐까? 몸 안에서 넘쳐나는 당분들을 태워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때문에 이 점들이 사라져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면 당뇨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고..."

생계를 위해 대학에서 당뇨에 대한 강의를 하던 참이라 그는 이 착상을 연구하는데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당뇨환자를 거의 방치하던 때여서 어떤 식으로든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세상은 젊은 의사의 말을 신용하려 하지 않았다. 무가치한 것이라는 면박을 받으며, 그는 실험할 곳을 찾기 위해 이곳 저곳을 전전하는 처지가 되었다. 겨우 자리를 마련한 곳은 토론토 대학에서였다. 그것도 방학을 이용해서 한시적으로 허용된 것이었다.



인류의 고통을 덜어준 기적의 약



어렵게 마련한 실험실에서 프레드릭은 의대생인 찰스 하버스트 베스트와 함께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갔다. 개의 이자관을 졸라매고 이자의 섬에서 추출한 물질을 투입하며 결과를 기다린 것이다. 그러나 실험 대상인 개의 숫자가 10마리에서 91마리가 되도록 아무 결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마치 그의 생각이 헛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듯 했다. 그런데 92마리째의 개에게서 기적이 일어났다. 이자를 졸라맨 개에게 이자의 추출물을 주사하자마자 갑자기 개가 생기를 되찾고 일어나 짖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그가 세운 가설이 옳았음이 증명되는 순간이었다.



이후부터 그의 연구는 활기를 띠었다. 프레드릭은 이자에서 발견된 새로운 물질을 아일레틴(후에 같은 뜻의 라틴어인 인슐린으로 바뀌었다)이라 이름 붙이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도축장을 다니면서 소와 돼지의 이자를 모으고 자신의 차를 팔아 마련한 돈으로 지방에서 가축의 이자를 사들였다.



이렇게 마련한 재료들을 가지고 그는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그의 첫번째 임상실험 대상자는 그의 절친한 친구인 조길 크리스트. 프레드릭은 당뇨를 앓고 있는 크리스트를 불러 자신의 실험 약을 주사했다. 결과는 너무나 놀라웠다. 당뇨의 여러 증상으로 오랫동안 고통받고 있던 크리스트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난 것이다.

   "기적의 약일세, 프레드릭. 이토록 머리가 맑아질 수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었는데..."

프레드릭이 새로운 당뇨병 약을 만들었다는 소문이 퍼지자마자 그를 찾는 이들이 구름과 같이 몰려들었다. 모두 당뇨로 인해 큰 고통을 당하는 이들이었다. 그들은 프레드릭의 약을 생명의 명약이라고 부르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프레드릭은 1932년 메클로드 등과 함께 노벨의학상의 명예를 안았다. 인류의 고통을 덜어주었으니 그 정도의 명예를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어쨌든 프레드릭과 그의 명약은 우리의 뇌리에 깊이 자리잡고 있다.



이젠 그의 뜻을 이어 받은 학자들이 당뇨병의 치료약 개발을 위해 끊임없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언제 그 결과가 나올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프레드릭의 정신이 잊혀지지 않는 한, 이를 위한 노력은 대를 잇고 이어 계속 될 것이 분명하다.



한국발명진흥회 총무부 부장 왕연중



-출처 사이언스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