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B 리치 패밀리5298

UEFA CUP 대회방식 UEFA CUP 대회방식 UEFA CUP 본선 1·2회전은 매년 9~11월, 본선 3회전은 11~12월, 준준결승은 다음해 3월, 준결승은 4월, 결승은 5월에 치르며, 결승전은 중립지역 구장에서 1회 단판경기로 이루어진다. 본선에는 44개의 자동출전팀과 함께, UEFA 순위 8~16위 국가 20개팀, UEFA 순위 17~49위 국가 40개팀 가운데 예비전을 통해 선발된 20개팀 등 총 64개팀이 올라온다. 경기방식은 홈구장과 상대팀의 구장에서 경기를 갖는 홈앤드어웨이의 녹다운 토너먼트방식으로 벌어진다. 본선 자동진출팀은 UEFA 순위 1~7위 국가의 25개팀, 유럽 챔피언스리그 예선에서 탈락한 16개팀, 기타 3팀이다. 챔피언스리그와 마찬가지로 각국 프로축구리그 상위팀들이 참가하지만, 결승까지 홈앤드어.. 2016. 6. 11.
UEFA 챔피언스 리그 운영방식 UEFA 챔피언스 리그 운영방식 출전팀 결정 방식경기 방식다음 라운드 진출팀본선 2라운드 (16강)본선 1라운드 통과한 16개팀16개팀이 4개조, 4개팀으로 리그전조 1,2위 8개팀. 8강 토너먼트 진출본선 1라운드 (32강)UEFA 랭킹1-6위 리그 1,2위 11개팀 UEFA 랭킹7-10위 리그 1위 4개팀 전대회우승팀 1개팀32팀이 8개조, 4개팀으로 리그전조 1,2위 16개팀. 본선 2라운드 진출16개팀+16개팀예선 3라운드UEFA 랭킹1-6위 리그 3위 6개팀 UEFA 랭킹1-3위 리그 4위 3개팀 UEFA 랭킹7-9위 리그 2위 3개팀 UEFA 랭킹10-15위 리그 1위 6개팀 Home & away 경기방식16개팀. 본선 1라운드 진풀18개팀+14개팀예선 2라운드UEFA 랭킹16-26위 리그 1.. 2016. 6. 11.
[UEFA] UEFA 챔피언스 리그 대회 방식 [UEFA] UEFA 챔피언스 리그 대회 방식 총 참가팀 72개팀 ①경기 방식 챔피언스 리그의 진출팀 방식은 복잡하다. UEFA에서 정하는 국가별 리그 랭킹에 의해 국가간 차별적으로 배분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명문 클럽들은 예선전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본선 1라운드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무명클럽이 챔피언스 리그 본선 32강에 오르기 위해서는 험난한 여러 예선전을 거쳐야 한다. 본선 1라운드는 예선 1, 2, 3라운드를 치뤄 살아남은 클럽 16개팀과 전대회 우승팀, UEFA랭킹 1-10 나라의 1위팀, 랭킹 1-6위 나라의 2위팀, 16개팀과 32강이 벌이는 본선 1라운드가 시작된다. 여기서 4개조 1,2위팀은 16강이 겨루는 본선 2라운드에 진출하게 되고 각조 3위는 UEFA컵으로 떨어지게 된다... 2016. 6. 11.
우주선 캡슐백팩 고양이 백팩 우주선 캡슐백팩 고양이 백팩 앗, 이거야 하며 끌리는 아이템 고양이와 함께 사는 나로서는 끌리지 않을 수 없다.... 공기구멍도 송송 나 있어서 가방에 들어가 더워하는 애들에게도 좋아 보인다. 2016. 6. 9.
분청 고양이문 잔세트(5P) 분청 고양이문 잔세트(5P) 찻잔 또는 술잔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 컵인데요. 잔으로 사용할 때와 그냥 엎어놓을 때의 모습이 너무 앙증맞고 손이 갈 정도로 호감이 갑니다. 고양이의 다양한 표정도 볼 수 있고 혼자 마실 때는 기분에 따라 잔을 고를 수도 있어요. 잔하나는 60ml 용량이라고 합니다. 국산이고... 구경해 보세요.... 웃는 고양이 얼굴이 제일 맘에 드는데요 ^^ 출처: http://gmkt.kr/goYx2b 2016. 6. 9.
정보이론 : Information Theory 정보이론 : Information Theory 참조파일 : http://www.aistudy.com/control/information_theory.htmInformation Theory 정보에 관한 수학적 이론. 일상용어로서의 정보는 <어떤 사항에 관한 알림>을 뜻하지만, 정보이론에서 다루는 정보는 통신·제어 시스템에서 전송·수신되는 과학이나 공학의 대상을 뜻한다. 즉 정보량이나 정보원(情報源) 에 수학적인 정의를 부여하고 통신로(通信路)의 정보전송용량, 정보원에서 발생하는 통신문(메시지)의 능률적 부호화, 예측 등을 수학적인 입장에서 연구한 것이다. 이처럼 정보를 자연과학·공학의 대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가장 먼저 제창한 사람은 Norbert Wiener 였다. 그는 제 2 차세계대전중 고사포의 제어.. 2016.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