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B 리치 패밀리5298 [유머] 이런 놈 정말 싫다 [유머] 이런 놈 정말 싫다 1.모텔비 모자란다고 돈 꿔 달라는 놈.(그러기에 비디오방이나 가자니까) 2.하루 종일 샤워만 하는 놈.(기껏 오른 열 다 식는다) 3.털이 길고 뻣뻣한 놈.(눈을 마구 찌른다) 4.불쌍해서 신음소리 내줬더니 "아프지" 하고 말하는 놈.(지금 장난하냐?) 5.'그게' 힘이 없는 놈.(뭐! 부드러운 것이 거센 바람에도 꺾이지 않는다고?) 2013. 4. 9. [IT/운영체제] MS, 윈도7 지원중단 MS, 윈도7 지원중단 이건 무슨소리인가... 윈도우즈 XP가 2014년까지인가지원한다고 하더니... 윈도우즈 7 또한 그러한가... 윈도우즈 7은 SP1에서 업그레이드 하지 않은 경우 오래 버티지 못하고 업그레이드 하거나 윈도우즈 8을 구입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윈도우즈도 모바일 OS처럼 과거 버전은 성능과 보안에 대한 보증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안드로이드의 경우 업그레이드를 최신으로 하지 않으면 앱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를 허다하게 보고 있기 때문에.MS의 이러한 정책은 어쩌면 당연하고도 보안의 향상을 도모하고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보인다.몇년안에 윈도우즈 8로 다들 옮겨가겠지... 이게 궁극의 목적이라고 봐야. 윈도우즈 XP는 014년4월18일까지 지원을 한다고 한다.. 2013. 4. 9. [음식/과학] 마요네즈속의 화학 마요네즈속의 화학 마요네즈는 겉보기에 단순한 식품이지만 그 속에는 놀라울 정도의 화학지식이 담겨 있다. 서양에서 마요네즈를 만드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기술이지만 화학의 원리를 밝혀내기 전부터 화학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달걀을 살펴보자. 달걀은 75%가 물이고 단백질과 지방이 각각 약10%씩 들어 있다. 서양에서는 달걀의 노른자위만 분리해서 식용유를 넣은 후 저어서 마요네즈를 만들어 먹는다. 노른자위를 이용해 물과 식용유가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을 극복하는 것이다. 즉 달걀의 노른자위에 들어 있는 레시틴이라는 분자가 작은 식용유 방울을 둘러싸면 물과 섞여 에멀전이라는 안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 식초와 향료를 넣으면 바로 마요네즈가 되는 것이다. 긴 막대기 모양의 레시틴 분자의 한 .. 2013. 4. 7. [자연/과학] 이슬에 갇힌 개미 왜 못나올까 이슬에 갇힌 개미 왜 못나올까 만일 사람의 몸이 개미만큼 작아진다면? 영화 '스파이더 맨'의 주인공처럼 유전자 조작 거미에게 물리든지 해서 손에 돌기와 털이 잔뜩 난 사람이라면 정말 거미처럼 벽을 쉽게 기어오를 수 있다. 몸무게의 1백배쯤 무거운 것도 번쩍 들어올리는 천하장사가 되고, 물 위를 걷는 것도 별로 어렵지 않다. 모두가 아주 작은(마이크로) 세계에서 일어나는 특수한 현상 때문이다. 거미같은 곤충들 중 일부는 '벨크로 현상'을 이용해 벽을 기어오른다. 이들의 다리 끝에는 미세한 털이 잔뜩 나 있다. 또한 평평해 보이는 벽이지만 확대해 보면 표면은 몹시 우툴두툴하다. 이 우둘투둘한 표면에 털들이 이리저리 휘감겨 얽히는 것이 벨크로 현상이다. 벽에 털이 얽혀 지탱하는 힘이 생기므로 곤충들은 수직벽에.. 2013. 4. 7. [유머] 연인이 자주 가는 곳 연인이 자주 가는 곳 한 퀴즈프로그램에서 벌어진 일이다. 대학생 남녀가 짝을 이뤄 낱말을 맞히는 스피드 퀴즈 코너였다. 제시한 카드에 '도서관'이라고 써 있었다. 남자는 자신있게 물었다. "우리가 자주 가는 곳이 어디지?" 여자도 자신있게 대답했다. ",모텔." 2013. 4. 5. [의료/과학] 가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왜 아프다든가 가렵다든가 하는 느낌이 드는지 그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우리의 피부에 있는 가느다란 신경을 더듬어 가면 점점 많이 모여 굵은 신경이 되고, 이윽고 척골 속에 있는 척수에서 뇌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손가락이 비었을 때 통증을 느끼는 역할을 하는 신경의 끝 부분이 그것을 감지하여 마치 전기가 전선을 통과하는 것처럼 느낌을 뇌에 전달한다. 그러면 뇌 속에서 어디가 아픈지를 알게 되는 것이다. 가려워 지는 것도 같은 것으로서, 가려움을 느끼는 역할을 하는 신경의 끝 부분에 벌레의 독이나 종기의 성분에 함유되어 있는 가려워지는 물질 따위가 작용하여 그것이 뇌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피부에 있는 신경에는 이 밖에도 뜨거움, .. 2013. 4. 3. 이전 1 ··· 620 621 622 623 624 625 626 ··· 8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