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B 리치 패밀리5281 AWS 인프라 구축 실습 5회 - RDS AWS 인프라 구축 실습 5회 - RDS 이번 회차에서는 AWS의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RDS설정에 관하여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RDS만 설정하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모르기 때문에,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 지 연동환경까지 구축해 보겠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실습과정 1. Route53 도메인 설정 2. VPC 설정 3. RDS (mysql) 설정 4. EC2(wordpress) 연동 RDS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치, 운영, 확장 작업에 대한 관리형 웹서비스입니다. 도메인을 이용하여 웹서버에 접속하면 관리형 DB를 액세스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Route53 도메인 설정 Route53 메뉴의 대시보드에서 호스트 영역 생성을 클릭합.. 2021. 11. 10. 구강세척기 워터픽 A/S 후기 구강세척기 워터픽 서비스 후기 워터픽 제품은 3년전쯤 구매해서 사용중인데 구매할 당시 다른 중국산이나 외산 제품보다 좀 비싼 편이였지만 국산 제품을 사용해보자는 생각에 구매를 하였고 추가로 한 개를 더 구매해서 사용중입니다. 이번에 사용중에 물 주입구 부분에 커버가 파손되어서 부품을 구하려고 a/s 접수를 했습니다. 인터넷(www.waterpik.co.kr) 접수했습니다. 전화가 와서 전화로 내용을 다시 이야기하고 사진으로 문제있는 부분을 자세하게 알려주었습니다. 기술담당 하시는 분이 확인하고 착불(선불보다 배송비가 저렴하다고 하셔서)로 보내주신다고 해서 며칠 후 부품을 받아서 마무리 물 주입구 부품을 교체해서 다시 잘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무선이고 충전도 쉽고 물 양 또한 한 번 하기에 적절한 양.. 2021. 11. 8. 이터널스 첫 스토리 소개이고 파티 멤버가 많은 만큼 박진감 넘치는 전개보다는 이터널스 이번 에페소드는 비기닝 성격을 띈다. 아리솀은 코딩학원 좀 다녀야겠다. 골드클래스에서 봤더니 화면은 작지만 편안하게 볼 수 있었다. 안마의자 너무 좋다. 2021. 11. 6. 테슬라 공인수리사업소에 다녀오다 FMK 테슬라 공인수리사업소에 다녀오다 테슬라 공인수리사업소 - FMK (공인수리사업소 이용 후기) FMK는 테슬라에서 소개해준 공인 수리업체입니다 하자 접수나 사고수리 시 테슬라 강서서비스센터에 입주해 있어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차 하자와 사고 수리 때문에 테슬라 강서서비스센터에 들렀습니다. 회사일로 모델Y 인도 후 바로 시간을 내기 어려워서 나중에 들른다는게 1달이 넘었네요. 그 간에 경미한 사고가 있어서 사고수리까지 같이 알아보러 왔습니다. 보험처리되는 사고 수리는 이곳에 입주해 있는 업체에서 서비스 받으면 된다고 해서 하자 처리 후 바로 안내를 받았습니다 잠시 후 테슬라 공인 수리업체 분이 내려오십니다 간단히 자기 소개를 하시고 차량 상태를 확인하러 갔습니다. 범퍼 부분에 내부도 확인해봐야하지.. 2021. 11. 5. AWS 인프라 구축 실습 4회 - IAM AWS 인프라 구축 실습 4회 - IAM 실습과정 1. IAM 사용자그룹 생성 2. IAM 사용자 생성 3. IAM 사용자 내보안자격증명 실습 1. IAM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보안 자격증명이나 권한에 대한 기능입니다. 정책으로는 다음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1) 사용자 2) 그룹 3) 역할 : EKS, ECS 제어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와 그룹을 생성하고 MFA, 다요소인증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가 MFA를 통하여 로그인하도록 해보겠습니다. 1.1. 사용자 그룹 생성 액세스관리 > 사용자 그룹 메뉴로 이동하여 그룹생성을 클릭합니다. 사용자그룹명 "trainees"를 입력하고 그룹 권한은 "administratorAccess"로.. 2021. 11. 2. AWS 인프라 구축 실습 3회 - Route53, EBS AWS 인프라 구축 실습 3회 - Route53, EBS 1. Route 53 확장가능한 DNS 및 도메인 이름 등록. 최종 사용자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하는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53이라는 번호는 DNS UDP port 53을 의미합니다. 라우트 53은 ip와 도메인을 매핑(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영역생성이라는 (A record 생성)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실습을 위해서 도메인을 먼저 구매해야 합니다. HTTPS 보안 연결에는 인증서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이제, 도메인등록 사이트에 가서 도메인을 등록합니다. 도메인 관련 설정은 시간이 좀 필요한 작업입니다. 등록한 도메인이 사용가능하기 까지 몇분에서 몇 십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 2021. 11. 2. 이전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 8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