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B 리치 패밀리5281

『소프트웨어 프리랜서 산재보험 적용확대』에 따른 산재보험 신고 안내 『소프트웨어 프리랜서 산재보험 적용확대』에 따른 산재보험 신고 안내 KOSA(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메일 홍보문을 캡쳐하여 재홍보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산재보험이 안되고 있었나 봅니다. IT개발자에게도 점점 좋은 처우가 제공되고 있고 다른 직업보다 안정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업무 압박감은 대체로 많은 편이라 무시하지 못하죠. 이 내용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2021. 7. 13.
하위 80% 재난지원금 지원 "하위 80% 재난지원금 지원" 사실, 재난지원금을 하위 몇 % 준다는 이런 방식 선별하느라 시간과 세금을 낭비하는 이 방법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재산이 많고 소득이 적은 사람, 재산은 없고 소득이 많은 사람? 어떤 사람에게 지급하는게 타당할까? 가능하면 100% 지급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사실, 고소득일수록 재산이 많을 수록 우리는 중과세를 납부하고 있다. 전국민이 어떤 상황인지 정확하게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모두 지급하는게 낫다고 생각을 한다. 더군다나 이런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직면한 순간에서 조차 고소득, 높은재산보유한 사람들이 차별 받는 것은 오히려 이중과세나 다름이 없다.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혜택에서조차 외면받는다면 정서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부정적인 인식이 쌓이지 않을까 싶다. 2021. 7. 6.
Django + Gonicorn + Nginx 연동 테스트 성공 Django + Gonicorn + Nginx 연동 작업을 하고 있다. 요즘 주말에 건강을 위해서 공원이나 카페로 돌아다니고 하느라 시간 투자를 많이 못했다. 집에 오면 왜 이리 피곤한지. gonicorn 설정과 nginx 설정에 익숙해지면서 몇가지 설정만 하면 Django Gonicorn Nginx 기본적인 연동은 쉽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어젯밤 테스트 하는데 이상하게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aws 에서 nginx로 연동한 페이지가 보이질 않는다. 혹시나 해서 확인해 보니 8000 포트는 오픈했는데 80 포트를 오픈하지 않아서 였다. Django + Gonicorn + Nginx 연동은 성공적으로 테스트 되었고 조만간 정리해서 포스팅 할 예정이다. 아, 참! supervisor를 이용하면 죽지않.. 2021. 7. 6.
한국, 강대국이 되다 한국, 강대국이 되다. 문재인 정부들어 한국의 위상은 계속 올라갑니다. 평가요소는 이렇습니다. 정치안정성, 경제영향력, 국방비, 무기보유량, 군사력, 소프트파워, 국제적동맹. 그리고 의료바이오도 엄청나죠. 한국의 위상은 계속 상승하고 중국이나 일본은 우리를 더욱 경계, 시기할 듯 합니다. 대국굴기, 대한민국이 이끌어갈 날도 문재인 정부를 이어갈 분들이 잘 추진할 듯 합니다. 2021. 7. 4.
그래서, 하고 싶은게 뭔데? 그래서, 하고 싶은게 뭔데? 개발자로서 회사생활을 하면서 참으로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습득하고 다양한 개발툴로 경력을 쌓아왔다. "이런 것도 했다 저런 것도 했다."라고 이야기를 하면 이제는 20대에게는 꼰대같은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고 중년에게서는 한 분야에서 오래 안해 봤네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러면서 나의 머리속을 울리는 한 마디는 "그래서, 너가 하고 싶은게 뭔데?" 라는 말이다. 명확한게 있었다면 아마 회사를 차렸을 것이지만 아직 회사생활을 하는 것을 보면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고 뭔가를 안하는 것도 아니다. 꾸준히 자기계발을 하고 있다. 관리자급으로 오면서 점점 프로젝트 관리나 개념적인 것에 더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 달라진 점이다. 그런데,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을 생각 안해 왔나?"하.. 2021. 7. 2.
'리치패밀리'라는 회사가 있네! 내 계정은 언제 만들어졌는지 잘 찾아봐야겠지만 SB리치패밀리라고 생각해서 만들었다. 설마 다른 사용자나 인터넷카페나 회사가 있을꺼라고는 생각도 못했고 "나중에 인터넷카페나 회사가 생길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했다. 오늘 첫 발견 "SB"는 빠져있지만 '리치패밀리'라는 회사가 있다. 내 계정에 대해서 내가 누구를 따라한다는 오해가 없었으면 좋겠다. 2021.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