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경제/증권] '계륵같은 중국건설시장'...최대 수주처로 부상

by SB리치퍼슨 2010. 5. 6.

'계륵같은 중국건설시장'...최대 수주처로 부상

아시아경제 | 오진희 | 입력 2010.05.06 08:08

건설업계의 해외시장 진출 대상국으로 중국시장이 떠오르고 있다.
오는 2018년쯤이되면 세계적으로 건설시장 규모가 1위로 등극한다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어서다.

◇중국 시장 왜 매력적인가?
가까운 나라, 중국의 국내 건설업계 실적은 아직 미미하다. 무엇보다 중국 정부가 시장개방에 폐쇄적이라는 점이 주요인이다. 특히 플랜트 등 기술이 부족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고용 비중이 큰 건설시장이라는 점 때문에 중국 발주처들은 주로 자국내 업체에 사업을 맡기는 게 대부분이다.

한국 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의 건설사도 단독 수주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런 여건으로 인해 미국 벡텔사의 경우도 중국업체와 조인트벤처(Jonint Venture)를 만들어 진출하기도 했다. 벡텔사는 2000년대 초반 43억달러 규모의 중국내 석유화학복합단지 조성사업을 따냈다.

그럼에도 해외건설 개척지로 중국이 꼽히고 있는 이유는 국가차원의 경제발전추진계획 및 지역균형발전 위한 철도, 고속도로 등 다양한 사회 인프라 확충사업이 지속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또 쓰촨성 지진피해 복구사업이나 서민주택건설 등 다수의 공공사업의 발주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신도시 개발사업과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유망사업으로, 원전의 경우 중국정부에서 2020년까지 추가로 100기의 건설계획 발표한 바 있다.

정창구 해외건설협회 정책연구실 팀장은 "국내업체들이 중국시장을 진출하려면 우선 제 3국에 중국업체와 공동진출해서 신뢰를 쌓거나, 중국건설은행 등 중국의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 팀장은 "중국건설은행은 건설쪽에 특화된 은행으로 서울지사 관계자와 면담했을때 아직 국내 건설사가 지원등 요청한 사례가 없다고 밝혔다"면서 "사업성 있고, 조인트벤처로 함께 하는 중국기업의 신용도만 좋으면 가능하다고 전해들은 바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향후 한중 자유무역협정 등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상대국 건설시장에 진출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직은 실적 미미..장기적 전략 필요


해건협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건설사들이 중국 시장에서 수주한 사업 규모는 지난해까지 누계액 기준 159개사가 총 536건, 102억3000만달러다. 아직까지는 그룹계열사들의 사업관련 공사나 아파트 개발사업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포스코건설 등 10여개의 대기업이 중국내 건설시공법인을 설립해 운용중이고, 일부 중외합자합작법인을 설립하거나 50여개의 중소기업이 부동산개발법인을 세워 사업을 추진중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상하이와 베이징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그룹계열사와 연관된 철강공장이나 백화점 등을 지은 사례가 있다. 주로 한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하는 사업 위주로 공사해왔다. 제도적으로 아직까지 어려움이 많지만, 서로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합작 등 진출을 모색하려 한다"고 말했다.

한라건설은 1995년부터 상해와 베이징에 2건의 개발사업을 추진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해 6월 천진시에 '향읍국제' 아파트 분양을 시작해 현지에서 호응을 얻기도 했다.

한라건설 관계자는 "금융위기의 여파가 중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중국정부는 주택경기 활성화 정책을 실시해 주택대출금리 인하, 계약세 감면 등으로 많은 실수요자들이 관망세에서 주택구매를 하게 됐다"고 전했다.

우림건설이 쿤산시에 지은 아파트 단지인 '태극(Taiji)' 프로젝트도 지난 해까지 3호 1~3기에 걸쳐 1008가구에 대해 이미 준공을 하고 분양까지 100% 마쳤다. 3호 4기 사업지는 현재 파일공사 등 기초단계에 들어가 있고, 5호 사업지도 착공을 앞두고 있다.

다만 상반기 중 금리인상이 예상돼 중국내 내수가 위축되고 각종 투자나 대출의 속도조절이 이뤄져 자금조달과 신규분양에서 어려움 겪을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 팀장은 "중국의 금융시장과 건설시장 상황이 민감한 시점이긴 하지만 중국정부의 단기정책에 지나치게 일희일비하기 보다 장기정책기조에 근거해 대중투자계획 등을 보수적으로 운영하면서 한중FTA 협상 진행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