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공투자 재테크

OECD,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1.5%로 대폭 하향

by SB리치퍼슨 2025. 3. 18.

OECD,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1.5%로 대폭 하향

성장률, 올해 1.5%로 0.6%p↓…내년 2.2%로 상향
다른 주요국에 비해 트럼프 관세전쟁에 더 취약 평가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 성장률 큰폭 하락 원인 지적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5%로 전망했습니다.

불과 석 달 사이에 0.6%포인트를 내렸습니다.

OECD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내렸습니다.

OECD는 매년 2회(5∼6월, 11∼12월) 세계 경제와 회원국, 주요 20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전망을 합니다. 3월과 9월에는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전망치를 수정합니다.

지난해 9월 2.2%, 12월에는 2.1%로 2%를 넘었지만, 불과 석 달 만에 1.5%로 0.6% 포인트나 떨어졌습니다. 

미국 관세정책으로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북미 3국 간 공급망 연계가 약화한 점도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정부는 최근 무역장벽 확대와 지정학·정책적 불확실성 증가 등으로 주요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하락하면서 한국 성장률도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KDI와 한국은행이 잇따라 1.6%, 1.5% 전망치를 내놓은데 이어 OECD마저 1.5%로 전망치를 내리면서 1%대 성장이 기정사실화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저성장 국면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한은은 관세전쟁이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도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1.4%에 그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OECD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2%로 0.1%p 상향 조정했습니다. 1%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 올해 큰 폭의 하향 조정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같은 기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평균 3.3%에서 3.1%로 0.2%포인트 내렸습니다. 미국(2.4→2.2%), 일본(1.5→1.1%), 유로존(1.3→1.0%) 등의 성장률 전망도 내려갔습니다. 중국은 성장 전망이 4.7%에서 4.8%로 소폭 올랐습니다. G20 성장 전망은 3.3%에서 3.1%로, 유로존은 1.3%에서 1.0%로 내렸습니다.

OECD는 "세계 경제 성장이 높아진 무역장벽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증가세가 완만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라 통화정책 제약 및 금융시장 변동성 우려가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 역시 3.3%에서 3.0%로 0.3%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OECD는 올해 미국과 함께 중국을 포함한 대규모 신흥시장의 견고한 성장세로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유지된다고 내다봤다.

 

 

올해와 내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9%, 2.1%로 기존 전망치(1.8%·2.0%)보다 각각 0.1%p 상향 조정됐습니다.

올해 세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8%로 기존 전망치(3.5%)보다 0.3%p 상향 조정됐습니다. 내년 전망치도 2.9%에서 3.2%로 올려 잡았습니다.

 


💁🏻‍♀️각 기관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기관(발표일) \ 연도 2025년 2026년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KDI(한국개발연구원, 11.11) 1.6%(2.0%)   N/A N/A
IMF(국제통화기금, 1.17) 2.0%(2.0%) 3.3% (3.2%) 2.1%(2.2%) 3.3% (3.3%)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17) 1.5%(2.1%) 3.1%(3.3%) 2.1%(2.2%) 3.0% (3.3%)
ADB(아시아개발은행, 9.25) 2.3%(2.3%)   N/A  
한국은행 (2.25) 1.5%(1.9%)   1.8%(1.8%)  
골드만삭스(1.31) 1.8%(1.1%)   N/A  
모건스탠리 1.7%(2.0%)   N/A  
노무라(1.31) 1.7%(1.7%)   N/A  
JP모건(1.31) 1.2%(1.3%)   N/A  
HSBC(1.31) 1.7%(1.7%)   N/A  
씨티(1.31) 1.4%(1.6%)   N/A  
바클리(1.31) 1.6%(1.8%)   N/A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1.31) 1.8%(1.8%)   N/A  
UBS(1.31) 1.9%(1.9%)   N/A  

 

1981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미만을 기록한 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0.7%)과 2023년(1.4%)로 네 번 뿐이었습니다.


#글로벌IB #투자은행 #한국성장률전망 #한국경제성장률전망 #세계경제성장률전망 #한국개발연구원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개발은행 #한국은행 #금통위 #KDI #IMF #OECD #ADB #경제성장률전망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경제전망 #수출증가세둔화 #인구구조변화 #생산인구감소 #내수회복부진 #내수부진 #수출부진 #트럼프관세 #반도체 #자동차 #미국관세인상정책 #금리인하 #증세권고 #고령화위기 #정치불안 #비상계엄 #계엄충격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노무라 #JP모건 #HSBC #씨티 #바클리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