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마케팅, 제휴마케팅

[광고/마케팅] 국내 소셜 커머스는 2세대로 진화 중

by SB리치퍼슨 2010. 12. 7.

쌈꼬쪼려 소백촌닭
 

국내 소셜 커머스는 2세대로 진화 중...핑크포인트, 토스트 e-commerce

2010/12/05 00:50

출처 : http://blog.naver.com/russo7/60119475861

 

소셜 커머스 1세대의 정착, 다음은 어디로 

국내 소셜 커머스는 2세대로 진화 중


지난 5월 티켓몬스터가 처음 국내에 상륙한지, 이제 6개월이 되었다. 티켓몬스터는 이제 연 매출 70억원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이 글에서는 소셜 커머스 도입 반년 현재를 짚어 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 소셜 커머스 1세대, Group Buying (소셜 쇼핑) 도입 현황


서두에서 언급한 것처럼, 요즘 소셜 커머스는 화두이다. 티켓몬스터의 성공을 필두로,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 장벽 탓에 우후죽순 격으로 업체가 늘어나면서 하루하나, 소쿠리 등의 메타 사이트가 인기 몰이 중이며, 각 업체 및 딜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공유하는 자생적 커뮤니티도 생겨 나고 있다.

 

<출처 : -소쿠리 사이트 페이지(socury), -하루하나 사이트 페이지(haroohana)>



현재 소셜 쇼핑 사이트는 100개를 넘어 선 가운데, 지난달 초 50억원의 자본금을 가진 위메이크 프라이스는 오픈 첫날 매출 15억원이라는 유래 없는 성공을 거두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들이 소개한 에버랜드 반값 할인 쿠폰은 기존에 소셜 커머스를 접한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까지 서비스 모델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출처 : 위메이크프라이스(wemakeprice) 첫 달 자유 이용권 60% 할인 페이지>



최근에는 사업이 된다고 판단하였는지, 신세계, 롯데 등의 전통적인 유통 강자 뿐만 아니라, 온라인 유통 강자인 인터파크에 이어,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의 포털업체 등이 이미 진입하였거나 준비 중이라고한다. 그 뿐만 아니라 사업의 연관성이 적은 금융 및 제조업체들도 자체 상품 소셜 커머스를 준비 중이라고 하니, 소셜 커머스는 2010년 비즈니스 모델계의 총아로 자리매김하며 국내에 안착하고 있는 듯 하다.

이와 같이 소셜 커머스라는 이름의 공동 구매형 쇼핑몰들이 무서운 속도로 성장 중이기는 하지만, 국내에 "소셜 커머스"가 온전히 정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라고 하기에는 아직 국내의 소셜 커머스는 "소셜 커머스=소셜 쇼핑 : 입소문 + 공동 구매 모델"이라고 이야기해도 될만큼 한 모델로 지나치게 쏠려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소셜 커머스는 이것이 전부인가? 소셜 커머스? 소셜 쇼핑? 용어도 무엇으로 불러야 할지 혼란스러운 소셜 커머스란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소셜 커머스의 정의, 거기에서부터 짚어 보도록 하자
.

"Social Commerce" 정의 및 종류


소셜 커머스는 이미 그루폰(Groupon)이 오픈한지 수년이 지난 미국에서도 최근에 들어서야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들이 발표되고 있을 정도로 아직 탐구할 영역이 남아 있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분야임에는 틀림 없다. 이들 문서들의 소셜 커머스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보면"SNS, Word of Mouth를 포함하거나 매쉬업 하는 전자 상거래의 한 흐름, 소비자들은 그들의 온라인 구매 경험을 획기적 개선을 위해 발달된 정보 기술의 산물인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호 소통/기여하면서 서로의 구매를 지원하는 형태(참조 : 위키피디아, Guidance, syzygy Group)"로 정의할 수 있겠다
.

, 핵심은 소셜 미디어와 E-Commerce의 결합을 통한 온라인 쇼핑 경험의 사회화(Socializing)
.

결국 이 두 가지 핵심 키워드가 결합하여 소비자의 상호 작용과 지원을 서로의 쇼핑 경험을 지원하는 형태라면, 소셜 커머스는 어떤 플랫폼과 결합하는지, 주체가 누구인지, 어떤 정보의 소통을 주로 하는지, 수익 모델은 무엇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수익모델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현재 국내에서 소셜 커머스라고 통용되는 공동 구매형태는 소셜 커머스 중에서도 공동 쇼핑 형태를 일컫는 소셜 쇼핑의 한 부류일 뿐이라는 것이다.[
]

Syzygy
Six Dimentions of Social Commerce이라는 이름으로 소셜 커머스 영역 분류를 제시하고 있다. Syzygy가 제시한 6개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소셜 쇼핑 / 2) 평점과 상품 리뷰 / 3) 추천과 후기 / 4) 포럼과 커뮤니티 /
5) SMO(Social Media Optimization) / 6)
소셜 광고와 어플리케이션



이와 같이 소셜 커머스는 단결/집합을 통한 Buying Power, 그리고 이를 통한 가격 혜택 뿐만 아니라, 상품에 대한 제조사가 제공하는 정보보다 상세하고 정직한 정보, 그리고 내가 모르는 상품에 대한 훌륭한 상품에 대한 정보(소개/추천)까지도 포함한다. 현재 국내의 공동 구매 모델은 소싱은 업체에서 하면서, 다만 사람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SNS를 이용하는 형태 정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런데 국내에서도 얼마 전부터 소셜 커머스의 다른 영역을 아우르는 사업 모델들(적어도 기존의 Group Shopping 모델과는 차별화 되는...)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다음에서 이들 의미 있는 시도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 새로운 모델들의 국내 출현


3
분기를 전후하여 Group Buying 형태의 소셜 쇼핑과는 달리 클라우드 소싱 개념을 도입하거나, 네트워크를 한정하는 모델 등 기존과는 차별적인 소셜 커머스 모델들이 오픈하였다. 그 중 주목할만한 서비스들을 뽑아 보았다
.

1)
위시 오픈

 

<출처 : 위시오픈 웹페이지, wishopen>



- 8
월말 정식 서비스 오픈, 소비자가 공동 구매를 진행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사이트에 올리고 다수가 원하는 경우 판매 업체를 선정하여 공동 구매를 진행하는 방식
-
기존 원어데이 형태의 몰에서 MD가 하던 기능을 소비자들이 직접 진행
-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면 구매를 원하는 다른 사람들이 의견과 함께 추천을 하고, 공동구매가 가능한 단위로 소비자가 모이면, 해당 제품 판매를 희망하는 판매자가 가격을 올리고 고객들이 판매자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방식
-
소비자가 직접 소싱하는 일종의 클라우드 방식, 초기에는 유명 브랜드 제품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을 소개
-
직접 조사와 분석을 완료하여 추천하고픈 제품을 올리기 때문에 적극적인 제품 홍보와 토론이 이루어짐

2)
토스토(Torsto)

 

<출처 : Torsto 웹페이지, torsto>



-
지난 9월 말 첫 서비스 개시, 오픈 당일 매출 1000만원을 달성, 기부하며 이슈로 등장
-
파워 블로거들을 중심으로 상품 소개 전문가인 소물리에 제도를 도입, 능동적인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체험하고 마음에 드는 상품에 대해 주체가 되어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방식
-
파워블로거를 기용함으로써 기존 블로거 독자를 흡수하고 신뢰성, 전문성 측면을 커버
-
소비자가 직접 체험한 추천할 수 있는 상품의 딜(Deal)을 진행하면서 소비자 입장에서 상세하고 꼼꼼한 상품의 장점과 단점, 개선이 필요한 아쉬운 점까지도 모두 리뷰 형태로 게시하면서 타 사이트와 차별화

3)
핑크포인트

 

<출처 : 핑크포인트 웹페이지, pinkpoint.co.kr>



-
핑크포인트는 이번 달 초 국내 최초 프라이빗 쇼핑 클럽 모델로 시장을 두드렸음
- IT
및 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올림푸스, 자라(ZARA) 등의 브랜드가 입점되어 있으며, 매주 제품군이 업데이트
-
해외 Guilt 등의 모델과 같이 회원제로 운영되며 초대를 통해 가입
-
정상 제품 30~40%, 이월 제품의 경우 80%까지 할인을 제공
-
국내에 맞게 공동구매 형태로 운영되며 현재까지 업데이트된 물품들은 모두 완판

해외에서 활발히 운영중인 모델 중 아직까지 국내에 도입되지 않은 모델은 카부들(Kaboodle), 디스넥스트(ThisNext)와 같은 쇼핑 정보 공유 및 쇼핑몰 중개 서비스 모델이 있다. 이들 서비스는 일종의 소셜 쇼핑 포털 개념으로, 소비자들은 소비스에서 제공하는 북마크, 쇼핑 리스트 즐겨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발견한 상품을 사이트에 올리고 그에 대한 의견을 회원들 간에 공유한다. 회원 간의 "눈썰미" 순위를 매기기도 하고 우수 회원을 팔로우(Follow) 하면서 사이트 내에서 쇼핑 정보를 공유하고 링크를 통해 바로 구매가 이루어 지기도 한다. 어찌 보면 기존의 싸이월드에서 또는 블로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추천 기능을 한 데 모아 놓은 후 쇼핑몰 링크를 통해 구매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쇼핑의 "새로운 것의 발견", "즐거운(fun)" 기능이 극대화된 모델이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출현이 기대되는 서비스 중 하나다.

■ 소셜 커머스의 부흥, 내포된 소비자의 니즈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필요
 

지금까지 소셜 커머스의 국내 도입 현황과 새로이 출현한 서비스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런데 이런한 소셜 커머스 Boom 뒤에는 어떤 소비자의 욕구가 숨어져 있는 것일까? Syzygy는 근본적으로 "소셜"한 활동이어 왔던 쇼핑이 E-Commerce 단계에서 잠시 혼자하는 행동으로 변했다가, 소셜 미디어라는 기술의 발전으로 다시 "소셜"한 그 본질로 돌아가고 있는 것이라고 역설한다
.

2.0은 오픈마켓, 정보 기반의 소비를 가능케 했다. 기존의 수동적 소비자를 상정하는 구매 결정 이론인 깔때기 모형(Funnel Model)은 평가 과정에서 여러 대안을 스스로 찾아 비교하는 Consumer Decision Journey(Mckinsey)로 대체[]되었다. 소비자들은 이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정보를 수집 분석할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출처 : Mckinsey의 소비자 구매 여정 모형(Consumer Decision Journey)>



오늘날의 소비자들의 또 한가지 특징은 그들이 매우 다양하고 까다로우며, 관심은 분화되고 그에 따라 제품별로 각자가 느끼는 가치도 소비자군별로 상이하다는 점이다. , 고관여 상품과 저관여 상품이 소비자 별로 집단별로 뚜렷이 차별화되고, 이에 "따라 상품 구매 방식도 분화되었다.[]

<소셜 커머스의 효용: 집단 지성 / 소셜 지성의 장()>

 



같은 소비자라고 해서 항상 같은 방식으로 구매를 하는 것도 아니고 같은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도 소비자간에 상이할 수 있다. 소비자는 때로는 직접 적극적으로 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하고 수집/분석하는 주체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친구나 대중 전문가의 의견이나 추천에 기대어 충동적으로 소비를 하기도 한다. 구매 결정 과정에도 Trading Up & Down 현상의 전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앞으로 시장의 리더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직하고, 상세/정확한(Trust), 유용하면서도(Utility) 즐거운(Fun) 정보가 교환되는 효과적인 장을 만드는 소셜 커머스 플랫폼, 그리고 이들 정보 흐름을 소셜 마케팅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기업이 될 것이다. 소셜 미디어와 E-Commerce의 어떤 다양한 조합이 나올지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자료 -

1. 소셜 커머스 해외 추진 사례와 전망, KT경제경영연구소, 2010.10
2.
산업별 모바일 활용 트랜드, 매일경제, 2010.10.06

3. Social Commerce: Monetizing Social Media, Syzygy Group, 2010

4. 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Mckinsey Quaterly, 2009.11
5. The purchase funnel is no more, Robin Grant, 2009.06.29


 

 나머지는 회원제로 모여 특정 제품을 구매하는 프라이빗 쇼핑 클럽과 같은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Forrester의 새로운 구매 모형이 중간 단계로 제시되었으나, 간단 명료하지 않고 이해가 용이하지 않은 점 때문에 간편성 등의 문제로 Mckinsey의 모형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음

ⅲ 보스톤 컨설팅 그룹(BCG) Trading Up & Trading Down 개념 참조

 

기고 : VETA Research &Consulting 안수진 컨설턴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