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증된최종사용자3 미국, 대 중국 AI 반도체 수출통제...한국 등 18개국만 '무제한 수입 가능' 미국, 대 중국 AI 반도체 수출통제...한국 등 18개국만 '무제한 수입 가능'미국 정부는 13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첨단 반도체를 동맹국을 중심으로만 공급하겠다는 내용의 AI 반도체 수출통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AI와 관련된 국가 안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며, 통제가 혁신이나 미국의 기술적 우위를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라고 밝혔습니다.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이날 고급 컴퓨팅 칩과 특정 폐쇄형 AI모델에 대한 웨이트 규제와 검증 소비자(VEU) 승인에 관한 최신 규정을 내놨습니다. 새 규정은 전 세계 국가를 3개 등급으로 나눠 반도체 공급을 제한합니다.적대국은 미국산 반도체를 실질적으로 .. 2025. 1. 15. 미,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추가조치 발표, 삼성·SK 깜짝 미,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추가조치 발표, 삼성·SK 깜짝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17일(현지시간) 미국 기업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추가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수출 통제 추가 조치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수출 통제 조치에 포함된 것보다 사양이 낮은 AI 칩의 중국 수출도 금지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또 중국의 제재 우회를 막기 위해 마카오에 본사가 있거나 미국의 무기금수 조치 대상인 회사로 반도체 장비 등, 중국은 물론 미국의 무기 수출이 금지된 21개국 등에 대한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수출도 통제됩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이번 추가 조치의 목적은 “군사적 활용에 필수적인 인공지능 및 첨단 컴퓨터 분야에서 중국이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첨단 반도체에 대한 접근을 차.. 2023. 10. 18. 미, 삼성·SK 중 반도체 장비 반입 제한 무기한 유예 미, 삼성·SK 중 반도체 장비 반입 제한 무기한 유예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한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무기한 유예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국내 반도체 업계의 중국 사업 지속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무기한 유예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원한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방식’으로 승인될 가능성이 크다. VEU는 사전에 승인된 기업만 지정된 품목의 수출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 방식이다. 장비 반입 시 별도로 미국 상무부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뜻이다. 앞으로 수출통제 예외 조치를.. 2023. 10.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