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금융446 식료품값 6%대 지속..물가 또 오를 예정 식료품값 6%대 지속..물가 또 오를 예정 새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졌지만 상반기 다시 상승 폭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전반적인 상황입니다. 정부의 미온적 대응에 과일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최근 국제 유가마저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식료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0% 상승했습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2.8%)의 두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식료품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넉 달째 6%대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달(3.2%)보다 0.4%포인트(p) 하락했지만 식료품 물가는 0.1%p 떨어지는 데 그쳤습니다. 식료품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견인하고 있습니다. (마트에 나가보면 너무 놀라게 됩니다) 지.. 2024. 2. 14. 대기업 성과급 희비…LG 가전 기본급 665%, 삼성 반도체 '0' 대기업 성과급 희비…LG 가전 기본급 665%, 삼성 반도체 '0' 28일 업계에 따르면 3년 연속 최대 매출을 달성한 LG전자는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구성원에게 기본급(연봉의 20분의 1)의 445∼665%에 해당하는 경영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LG전자의 성과급 정보는 아래와 같이 알려졌습니다. 최고 수준인 665% 지급률은 세탁기 글로벌 1등 지위를 굳히며 최대 매출에 기여한 리빙솔루션사업부에 책정됐다. H&A사업본부는 작년 매출액 30조1천395억원을 기록해 경쟁사인 미국 월풀을 제치고 글로벌 가전 1위를 확실시했다. 전장(차량용 전기·전자장비)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에는 기본급의 455%가 경영성과급으로 지급된다. 지난해 VS사업본부는 출범 10년 만에 매출액 1.. 2024. 1. 30. 전세사기 피해, 영끌 부담이 부른 임의경매 물건 급증 현상 전세사기 피해, 영끌 부담이 부른 임의경매 물건 급증 현상 임의경매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빌린 돈과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할 경우 채권자가 대출금 회수를 위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강제경매와 달리 별도의 재판을 거치지 않고 법원에 경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이 채권자일 때 임의경매가 활용됩니다. 2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토지·건물·집합건물 등) 임의경매 개시결정 등기 신청 건수는 총 10만 561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수치로 임의경매 개시결정 등기 신청 건수가 10만 건을 넘어선 것은 2014년(12만 4253건) 이후 9년 만의 일입니다. 2023년 경기지역 부동산(집합건물, 토지, 건.. 2024. 1. 29.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 폐지 수순..단통법 전면 폐지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 폐지 수순..단통법 전면 폐지 정부가 오늘 대형마트에 적용하는 공휴일 의무 휴업 규제를 폐지하고, 영업제한시간의 온라인 배송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가계 통신비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이른바 '단통법'도 전면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생활규제 개혁방안 마련 국무조정실은 오늘 서울 동대문구 홍릉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해야 하는 원칙을 폐기하기로 했습니다. 대형마트가 평일에 휴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대도시와 수도권 외 지역에도 새벽 배송이 활성화되도록 대형마트의 영업 제한 시간 온라인 배송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대형마트 영업 제한 시간 : 자정~오전 10시 지난.. 2024. 1. 22. 서울·부산 전기요금 다르게..‘지역별 차등제’ 차등구간 민영화 서울·부산 전기요금 다르게..‘지역별 차등제’ 차등구간 민영화 정부가 지역별로 전기요금을 다르게 책정할 수 있는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을 본격 준비 중입니다. 지난해 5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법)이 국회 문턱을 넘은 데 따른 것으로, 당장 올해부터 제도 시행 땐 전기를 많이 쓰는 수도권의 전기요금은 오르고, 발전소가 집중된 지역의 요금은 낮아질 전망으로 보입니다. 다만 요금 형평성 논란과 지역 간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를 검토하기 위해 용역을 발주했습니다. 분산법 제45조는 전기 판매 사업자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전기요금을 다르게 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전력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문제는 꾸준히 지적돼왔습니.. 2024. 1. 17. 예금 금리 연 3%, 5대 은행 예적금 19조 인출..관치금융 어쩌나 예금 금리 연 3%, 5대 은행 예적금 19조 인출..관치금융 어쩌나 지난해 5%를 웃돌던 은행권 정기예금금리가 일괄 3%대로 내려온 가운데, 1년 전 막대한 자금이 몰렸던 정기예금의 만기가 도래하며 투자처를 찾는 대기성 자금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저축은행에서도 금리 혜택을 늘리며, 시중의 자금을 끌어모을 유인책이 없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3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이들 은행 예적금 잔액은 총 895조1,589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8조7,044억 원 줄었다. 정기적금은 한 달간 7,368억 원 증가했는데, 9월(+1조2,474억 원)을 기점으로 상승폭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시장성 예금(자산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는 예금) .. 2024. 1. 8. 이전 1 ··· 4 5 6 7 8 9 10 ··· 7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