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성전자45

기옥시아·WD 합병하면 세계 1위..누가 반대할까? 기옥시아·WD 합병하면 세계 1위..누가 반대할까? 낸드플래시 메모리 세계 3~4위인 일본 기옥시아홀딩스(옛 도시바메모리)와 미국의 웨스턴디지털(WD)의 합병이 세계 2위 SK하이닉스의 반대로 암초에 부딪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두 회사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에 대비해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그룹에 투자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요미우리신문은 이달 중 합병을 성사시킬 계획이었던 기옥시아와 WD의 합병 작업이 SK하이닉스의 반대로 차질을 빚고 있다고 18일 보도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2018년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영사 베인캐피털이 기옥시아를 인수할 때 간접투자자 형태로 참여했습니다. 기옥시아의 주주는 베인캐피털(56.2%), 도시바(40.6%), 호야(3.1%)등.. 2023. 10. 20.
이스라엘 분쟁, 삼성·SK 반도체 타격 가능성은 이스라엘 분쟁, 삼성·SK 반도체 타격 가능성은 이스라엘군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격화함에 따라 현지 반도체 기업들의 개발 및 생산·제조 활동이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약 160곳의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포진한 '반도체 왕국'으로, 인텔, 퀄컴, 엔비디아, 애플, 화웨이 등이 현지에 사업체를 두고 있습니다. 특히 인텔의 중앙처리장치(CPU) 생산 기지는 분쟁 지역과 가까이 위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공산이 큰데, 이 경우 인텔 CPU에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국내 기업들도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아직 이스라엘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꼽히는 이스라엘에서 전쟁이 발발하면서 하반기 반등 조짐을 보이던 반.. 2023. 10. 11.
미, 삼성·SK 중 반도체 장비 반입 제한 무기한 유예 미, 삼성·SK 중 반도체 장비 반입 제한 무기한 유예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한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무기한 유예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국내 반도체 업계의 중국 사업 지속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무기한 유예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원한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방식’으로 승인될 가능성이 크다. VEU는 사전에 승인된 기업만 지정된 품목의 수출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 방식이다. 장비 반입 시 별도로 미국 상무부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뜻이다. 앞으로 수출통제 예외 조치를.. 2023. 10. 10.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공장 괜찮나..미 반도체법 가드레일 규정 최종 발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공장 괜찮나..미 반도체법 가드레일 규정 최종 발표 미국 정부는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중국에서 증설 한도 5% 규정을 확정했습니다. 한국정부의 증설 한도 10% 요구는 미국 정부로부터 거부되었습니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조성한 보조금 규모는 390억 달러, 우리 돈 50조 원이 넘습니다. 러 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미국 국민 세금이 들어간 보조금이 중국에 보탬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지난 지난 19일, 반도체법의 목적은 국가 안보를 위한 겁니다. 따라서 안보 우려 국가인 중국이 미국을 앞지르는 데 한 푼도 쓰이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언급했었습니다. 이에 따라 미 상무부는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지켜야 할 조건.. 2023. 9. 24.
미국, ‘반도체·양자·AI’ 대중국 투자 제한 행정명령 발표 미국, ‘반도체·양자·AI’ 대중국 투자 제한 행정명령 발표 중국 첨단기술 군사 기술활용 차단 ‘디리스킹’ 강조했지만 中 반발 불가피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 대한 대중국 투자를 통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미국 자본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 양자 정보 기술, 인공지능(AI) 3대 분야에 투자하려면 의무적으로 신고하고, 특정 투자에 대해서는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대 중국 투자 제한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국 고위 당국자는 “안보에 직결되는 분야 관련 중국에 대한 투자가 전면 금지되고 다른 민감한 투자는 사전 신고가 의무화된다”며 “동맹(G7+파트너)을 포함해 의회와 초당적 논의를 거쳐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 2023. 8. 18.
미·중 갈등 이후 미 반도체 수입시장서 1위는 미·중 갈등 이후 미 반도체 수입시장서 1위는 전경련, 미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 조사 미·중 갈등으로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대만과 베트남이 그 수혜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제무역센터(ITC) 통계 자료를 토대로 2018년과 2022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내 주요 국가 점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대만의 점유율은 9.5%에서 19.2%로 9.7%포인트 상승했다. 점유율 순위도 기존 4위에서 1위에 올랐습니다. 2018년 점유율 2.5%로 8위에 그쳤던 베트남은 2022년 9.8%의 점유율로 5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20여년 넘게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해온 중국은 2018년 30.2%에서 3분의 1 수준인 11.7%.. 2023. 5. 17.
반응형